![](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12/14/20201214145650654927.jpg)
[이미지=게티이미지뱅크]
백화점, 마트 등 집객을 기반으로 하는 오프라인 유통 업계는 정부의 코로나 지침을 주시하되, 최악의 경우 영업 중단 사태까지 대비해 최대한 주요 콘텐츠를 온라인으로 이식한다는 방침이다.
14일 정부의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거리두기 3단계 상향 시 백화점, 복합쇼핑몰 등 종합소매업 면적 300㎡ 이상 규모 점포는 집합금지 명령에 따라 문을 닫아야 한다.
백화점은 본래 점포를 닫는 시간이 오후 9시였기 때문에 거리두기 2.5단계 상황까지만 해도, 집객 감소는 있었을지언정 다른 오프라인 채널에 비하면 시간적인 측면에서 큰 피해를 입지는 않았다. 하지만 3단계로 격상되면 아예 영업을 중단해야 하기 때문에, 이에 대비한 새로운 대응책 마련이 불가피하다.
실제로 롯데, 신세계, 현대 등 주요 백화점의 지난 주말 매출은 작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최대 14%까지 감소한 상태다.
우선 백화점 업계는 온라인과의 협업 체계를 강화해 손실을 최소화해나간다는 방침이다. 연말을 맞이해 계획했던 행사를 온라인으로 전환하고, 최근 고객들의 호응을 얻었던 라이브 방송 편성도 확대하는 식이다.
롯데쇼핑 관계자는 "상상하긴 싫지만 3단계 격상 시 사실상 백화점은 일시적인 폐점 수순에 들어가 이를 염두에 둔 마케팅 전략을 세워야 한다"며 "당사의 경우 일단 코로나 사태를 지켜보되, 이커머스 채널인 '롯데온(ON)'과의 협업 체계를 강화해 온·오프라인 간 시너지를 발휘할 수 있는 콘텐츠 마련에 집중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백화점 관계자는 "일단 온라인으로 변환할 수 있는 연말 기획전은 최대한 온라인으로 돌릴 것"이라며 "특히 백화점에서만 구할 수 있는 유명 브랜드 상품 등 고가 품목의 온라인 비중을 높여 구매력 있는 수요층을 유인하려 한다"고 설명했다.
대형마트와 기업형 슈퍼마켓(SSM)의 경우 상황이 조금 미묘하다. 3단계 조정 시 영업 제한 여부가 불분명하기 때문이다. 다만 필수 시설로 분류되는 이들 채널은 사실상 영업 중단이 예고된 백화점보다는 다소 나은 처지라는 평도 나온다.
한 대형마트 관계자는 "300㎡ 규모 이상인 대형마트는 영업 제한 면적 기준에는 부합하나, 집합금지 제외시설로 분류된다. 영업 중단 여부를 정확히 알 수 없어 정부의 지침을 초조하게 기다리는 중"이라며 "때문에 현재로서는 정확한 판매 전략을 수립하긴 어렵다. 온라인 전환 품목에 대해 면밀히 살피고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도 "대형마트나 SSM은 생필품을 다룬다는 점에서 영업 중단 시 고객의 불편도 상당히 가중될 것"이라며 "하지만 이들 채널은 추후 3단계에도 영업 지속 시 방역 문제가 수면 위로 떠오를 수 있다. 일단 매장의 방역 체계를 더욱 강화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설명했다.
김태기 단국대 경제학과 교수는 "온라인 콘텐츠 강화가 해법이라 본다. 특히 백화점 업계는 기존 채널에서 구할 수 없는 차별화된 브랜드, 소비자들의 흥미를 불러일으키는 콘텐츠 등을 온라인에 효율적으로 이식해야 이 난관을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