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자 '디지털 격차' 해결에 칼 뽑은 中

2020-11-25 17:45
  • 글자크기 설정

中 현금 사용 노인 거부 문제 논란

국무원 고령자 기술 활용 계획 발표

중국에서 논란이된 '할머니의 안면인식' 영상 [사진=웨이보 캡쳐]

중국에서 노인을 비롯한 취약 계층의 ‘디지털 격차’ 문제가 잇달아 발생하면서 정부가 칼을 뽑아 들었다. 25일 중국경제망에 따르면 국무원은 전날 ‘고령자의 스마트 기술 활용 문제 해결 시행 방안’을 배포하고 신속한 시행을 촉구했다.
스마트폰 결제, 안면인식 '벽'에 막힌 노인 영상에 논란
최근 짧은 영상 하나가 중국 온라인을 뜨겁게 달궜다. 영상 속에는 백발의 할머니가 망연자실한 표정으로 의자에 우두커니 앉아 있다. 의료보험료를 내기 위해 빗속을 뚫고 도착한 납부창구에서 현금 납부를 거부했기 때문이다.

후베이성 이창현의 주민센터라는 이 곳 창구에서 일하는 직원은 노인에게 “현금은 받지 않는다”며 “스마트폰으로 결제하거나 가족을 불러오라”고 요구했다.

한 중국 언론은 이 영상 내용을 보도하면서 “’비’라는 난관을 뚫고 보험료를 내려했던 할머니가, 스마트폰 결제라는 벽에 맞닥뜨려 어린 아이처럼 무기력해졌다”고 설명했다.

앞서 지난 21일에는 ‘할머니의 안면인식’이라는 영상도 논란이 됐다. 허리가 구부정한 한 할머니가 은행을 찾았지만, 높게 설치된 기계의 카메라로 안면인식을 시행하지 못해 안절부절하는 모습이 찍혔다. 결국 아들이 할머니를 안아 들어올린 후에야 할머니는 정상적으로 은행 업무를 볼 수 있었다.

이 같은 영상이 온라인에서 잇달아 확산되면서 중국에서는 ‘디지털 격차’의 심각성이 도마 위에 올랐다. 스마트폰 결제가 일상이 된 중국 사회에서 노인이나 빈곤층의 디지털 소외가 심화되고 있다는 것이다.

누리꾼들은 “아직 스마트폰을 소유하고 있지 않은 노인들도 많고, 스마트폰 결제를 어려워하는 노인들은 더 많다”며 “이 같은 문제의 해결책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우려가 더 커지는 이유는 중국의 고령 인구 수가 점점 늘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지난해말 기준 65세 이상 고령 인구는 1억7600만명으로 전체 인구의 12.6%에 달한다. 중국 민정부는 5년 안에 고령 인구가 3억명을 넘을 것이라고 전망하기도 했다.
국무원 "고령자 위해 전통 서비스 방식도 유지하라"
이처럼 고령자의 디지털 격차 관련 논란이 잇달아 발생하자 중국 당국도 대응에 나섰다.

국무원은 이미 지난 15일 통과시킨 ‘고령자의 스마트 기술 활용 문제 해결 시행 방안’을 공개했다. 이어 각 지방정부와 부처, 관련 기관에 해당 방안에 대한 인쇄물을 배포하고, 신속히 시행에 나설 것을 당부했다.

국무원은 “중국의 인터넷,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 기술 발전이 바르게 발전하면서 스마트폰을 통한 의료 서비스와 소비 문화 등이 일상화됐다”며 “하지만 최근 급속도로 늘어나고 있는 고령 인구들은 일상생활에 불편을 겪고 있다”며 이번 방안의 조속한 시행 이유를 설명했다.

방안의 구체적인 내용은 △고령자의 디지털 기술 활용 가이드라인 마련 △온라인 서비스와 오프라인 채널의 결합 강화 △고령자의 디지털 기술 이용 문제점 파악과 맞춤형 솔루션 마련 △고령자를 위한 전통적인 금융 서비스 방식 유지 △필요한 오프라인 업무 채널 추가 설치 및 확대 등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