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진칼의 경영권 분쟁과 항공업 재편은 분리 가능한 사안이다. 산업은행과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이 항공업 재편을 진정으로 희망한다면, 가처분 인용시에도 다양한 대안으로 항공 산업 재편이 가능하다."
한진그룹 경영권을 두고 조 회장과 대립해온 행동주의 사모펀드 KCGI는 24일 이같이 강조했다.
앞서 KCGI는 산은이 발표한 대한항공의 아시아나항공 인수 계획을 조 회장의 경영권 보장을 위한 '조원태 구하기'라고 규정하고, 산은을 배정 주체로 하는 한진칼의 제3자 배정 신주발행을 금지해 달라고 법원에 가처분을 신청했다.
KCGI는 "가처분 인용시에도 대출, 의결권 없는 우선주 발행, 자산매각, KCGI 주주연합 등 기존 주주에게도 참여기회를 주는 주주배정 방식의 유상증자(실권주 일반공모) 등 다양한 방법으로 진행이 가능하다"며 "가능한 대안들을 여러 핑계로 무시하고 있을 뿐"이라고 비판했다.
산은은 "법원이 가처분 신청을 인용할 경우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통합 거래는 무산될 수밖에 없다"고 언급한 바 있다.
KCGI는 또 "항공업 개편 명분에도 불구하고 (산은이) 대한항공과 진에어에는 이사 지명권이나 의결권도 가지지 않고 한진칼에만 의결권과 이사 지명권을 갖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는다"며 "1조원에 가까운 혈세를 추가 투입하면서도 항공사 직접 감독을 포기한 셈"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아시아나항공에서도 실패했던 감시감독이 성공하려면 더 엄중해야 하는데, 기업의 자율성 측면에서 산은이 과도하게 관여하게 되는 항공업 재편방안이 옳은 길인지도 의문"이라고 덧붙였다.
KCGI는 "11만 임직원의 고용이 중요한데, 경영주인 조 회장의 13억원 연봉 삭감이나 정석기업 지분 처분 등 아무런 자구노력 조건도 없이 2개월 만에 인수계약이 진행된 것은 졸속"이라며 "부실 항공사 통합이 절박하다면서 구조조정이 없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강조했다.
한진그룹 경영권을 두고 조 회장과 대립해온 행동주의 사모펀드 KCGI는 24일 이같이 강조했다.
앞서 KCGI는 산은이 발표한 대한항공의 아시아나항공 인수 계획을 조 회장의 경영권 보장을 위한 '조원태 구하기'라고 규정하고, 산은을 배정 주체로 하는 한진칼의 제3자 배정 신주발행을 금지해 달라고 법원에 가처분을 신청했다.
KCGI는 "가처분 인용시에도 대출, 의결권 없는 우선주 발행, 자산매각, KCGI 주주연합 등 기존 주주에게도 참여기회를 주는 주주배정 방식의 유상증자(실권주 일반공모) 등 다양한 방법으로 진행이 가능하다"며 "가능한 대안들을 여러 핑계로 무시하고 있을 뿐"이라고 비판했다.
산은은 "법원이 가처분 신청을 인용할 경우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통합 거래는 무산될 수밖에 없다"고 언급한 바 있다.
KCGI는 또 "항공업 개편 명분에도 불구하고 (산은이) 대한항공과 진에어에는 이사 지명권이나 의결권도 가지지 않고 한진칼에만 의결권과 이사 지명권을 갖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는다"며 "1조원에 가까운 혈세를 추가 투입하면서도 항공사 직접 감독을 포기한 셈"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아시아나항공에서도 실패했던 감시감독이 성공하려면 더 엄중해야 하는데, 기업의 자율성 측면에서 산은이 과도하게 관여하게 되는 항공업 재편방안이 옳은 길인지도 의문"이라고 덧붙였다.
KCGI는 "11만 임직원의 고용이 중요한데, 경영주인 조 회장의 13억원 연봉 삭감이나 정석기업 지분 처분 등 아무런 자구노력 조건도 없이 2개월 만에 인수계약이 진행된 것은 졸속"이라며 "부실 항공사 통합이 절박하다면서 구조조정이 없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강조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11/24/20201124135308438613.jpg)
지난 18일 인천국제공항 주기장에 세워진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여객기 뒤로 아시아나항공 여객기가 이륙하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