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11/23/20201123230753905778.jpg)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3차 확산기에 접어든 가운데 전세계적으로 감염병 유행과 소매판매 하락 사이의 상관관계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예산정책처가 발행한 '코로나19 재확산에 따른 해외 봉쇄정책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주요 20개국의 월별 엄격성 지수와 소매판매 증가율 관계를 분석한 결과 1차 확산기인 3~4월에는 지수가 상승하면 소매판매가 감소하는 음의 상관관계가 뚜렷하게 나타났지만 7~8월에는 약화됐다"고 밝혔다.
우영진 예정처 분석관은 "코로나19 재확산과 봉쇄정책으로 전세계 경제위기 장기화 가능성이 부각되고 있지만 봉쇄정책의 강도, 비대면 경제체제 구축, 정부의 정책대응, 백신 개발 가능성 등을 고려하면 경제충격이 초기 확산기보다는 작을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코로나19의 전세계적 1차 확산기는 3~4월달이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3월 11일 코로나19 팬데믹을 선언했다. 2차 확산은 남미와 인도 등을 중심으로 6~8월에 발생했다. 3차 확산은 미국과 유럽에서 나타나고 있는 재확산이다. 9월 이후 발생해 11월 현재까지 진행 중이다. 한국 정부 또한 일일 확진자 수가 300명을 넘어서자 3차 유행을 선언했다.
3차 확산의 기세는 심각하다. 미국은 일일 확진자 수가 10만명을 넘어서는 등 1, 2차 시기보다 확산세가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유럽 또한 독일, 프랑스, 영국 등에서 코로나19가 확산하며 일일 확진자가 30만명 이상으로 급증했다.
다만 전세계의 봉쇄 강도는 1차 확산기와 비교하면 완화된 수준이다. 유럽은 보육시설, 학교, 공장, 공공서비스는 폐쇄하지 않는 조치를 실시 중이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11/23/20201123231337934970.jpg)
[국회 예정처 제공]
보고서는 "전세계 봉쇄 강도를 보여주는 '엄격성 지수(Stringency Index)는 3차 확산기에는 급등하는 경향을 보이지 않는다"며 " 미국 및 독일 등 주요국의 엄격성 지수 추이를 살펴보아도, 재확산에도 불구하고 엄격성 지수는 1차 확산기 수준만큼 상승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이는 코로나19 재확산에도 불구하고 공중보건 역량 제고로 인해 전세계 봉쇄정책은 1차 확산기 수준으로 심화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7~8월은 엄격성 지수가 높아지더라도 소매판매 증가율이 감소하는 상관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온라인을 통한 비대면 소비망이 구축되고, 재난지원금 지급 등 정부의 경제지원책에 따른 소비 증가 효과가 영향을 발휘한 결과로 풀이된다.
다만 보고서는 "최근의 해외 코로나19 확산이 심화되는 상황을 고려할 때 봉쇄정책이 현재보다 강화되면 경제충격이 증폭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며 "정책대응에 만전을 기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