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11/19/20201119110931856339.jpg)
19일 경기도 일산 소재 CJ ENM에서 열린 '컴업2020' 행사에서 박영선 장관이 개막연설을 하고있다. [사진=중소벤처기업부]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은 19일 경기도 일산 소재 CJ ENM에서 열린 '컴업2020' 행사에서 "현재 플랫폼경제 기반에서 스타트업의 기술이 연결의 힘으로 발전하고 있지만, 이제는 프로토콜 경제 전환에 대비해야 한다"며 "플랫폼을 통한 스타트업의 연결이후 프로토컬 경제는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데이터 독점을 방지하고, 폐쇄성을 해결하며, 중앙집권화를 분권화로 바꾸고 있다"고 밝혔다.
올해 2회째를 맞는 컴업2020 행사는 ‘코로나 이후의 미래를 만나다’를 주제로 열렸다. 컴업에 참가하는 세계 각국의 스타트업, 석학들을 통해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펼쳐질 세계경제의 뉴노멀을 미리 본다는 취지다.
박 장관은 이날 개막 연설에서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방식의 확산 속도가 빨라지면서 현재 대세로 군림하고 있는 플랫폼 경제는 궁극적으로 프로토콜 경제로 전환될 것"이라며 "코로나 이후 시대 새로운 경제모델인 프로토콜 경제는 블록체인 기술의 발전과 궤를 같이하고 있으며, 플랫폼 경제에서 발생하는 데이터 독점 및 폐쇄성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차세대 경제모델"이라고 설명했다.
박 장관은 "대면에서 비대면으로, 플랫폼 경제에서 프로토콜 경제로의 패러다임 전환에 발빠르게 대응하면서 새로운 기회로 활용하는 스타트업들이 코로나 이후의 미래를 선도해 나갈 것"이라며 "스타트업의 본질은 새로운 것에 대한 도전에 있다. 남들이 가지 않은 길을 개척하는 것은 앞으로도 스타트업의 숙명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제 지금까지 가보지 않은 새로운 시대가 열리게 되면,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불굴의 도전정신으로 혁신하는 스타트업들이 세계 경제의 주인공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