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시스템이 초연결·초지능 미래네트워크중심전(NCW)에서 우리군의 전투능력을 극대화시킬 첨단 디지털 통신 네트워크 구축에 나선다.
한화시스템은 국방과학연구소가 주관하는 ‘한국형 합동전술데이터링크체계(JTDLS) 완성형 체계 개발’ 사업의 최종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되었다고 18일 밝혔다.
향후 6년간 약 1300억원 투자해 개발할 예정이다. 현실화되면 JTDLS 완성형 체계와 관련해 약 2500억원 규모의 물량을 수주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JTDLS 완성형 체계 개발 사업은 기존 한국형 전술데이터링크(Link-K)의 주 장비와 보조 장비를 개발해 Link-K 네트워크의 완성형 체계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우선 기존 Link-K의 전송속도를 향상 시키고 항 재밍(신호의 내용을 알지 못하게 하려고 전파를 발사해 수신을 고의로 방해하는 일) 기능을 추가해 적의 재밍을 회피할 수 있는 성능을 강화할 예정이다.
또한 유선∙무선∙위성 Link-K 등 한국형 합동 전술데이터링크체계를 종합하고 해외 전술데이터링크와의 체계 연동을 통해 지상∙해상∙공중 플랫폼 등 초연결 네트워크를 성공적으로 구축해 나갈 방침이다.
한화시스템 관계자는 “JTDLS 완성형 체계 개발이 완료되면 그동안 의존해온 해외 전술데이터링크 네트워크를 탈피할 수 있을 것”이라며 “Link-K 네트워크를 다양한 무기체계 플랫폼으로 확장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화시스템은 이미 JTDLS 기본형 체계 개발 경험과 10년이상 축적된 Link-K 단말 및 소프트웨어 개발 기술을 보유해 국내 전술데이터링크 분야에서 독보적 지위를 확보하고 있다.
Link-K는 국내 감시정찰 체계를 통해 수집한 전장 정보를 합동연동통제소 및 지상·함정·전투기·헬기 등 다양한 무기체계에 성공적으로 연결시켜 한국군 단독 작전 운용을 실현시킨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김연철 한화시스템 대표이사는 “미래전에서는 ‘초연결∙초지능 네트워크’ 구축이 필수적”이라며 “독보적인 기술력과 경험을 바탕으로 JTDLS 완성형 체계를 성공적으로 개발해내 첨단 스마트국방을 선도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화시스템은 국방과학연구소가 주관하는 ‘한국형 합동전술데이터링크체계(JTDLS) 완성형 체계 개발’ 사업의 최종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되었다고 18일 밝혔다.
향후 6년간 약 1300억원 투자해 개발할 예정이다. 현실화되면 JTDLS 완성형 체계와 관련해 약 2500억원 규모의 물량을 수주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JTDLS 완성형 체계 개발 사업은 기존 한국형 전술데이터링크(Link-K)의 주 장비와 보조 장비를 개발해 Link-K 네트워크의 완성형 체계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유선∙무선∙위성 Link-K 등 한국형 합동 전술데이터링크체계를 종합하고 해외 전술데이터링크와의 체계 연동을 통해 지상∙해상∙공중 플랫폼 등 초연결 네트워크를 성공적으로 구축해 나갈 방침이다.
한화시스템 관계자는 “JTDLS 완성형 체계 개발이 완료되면 그동안 의존해온 해외 전술데이터링크 네트워크를 탈피할 수 있을 것”이라며 “Link-K 네트워크를 다양한 무기체계 플랫폼으로 확장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화시스템은 이미 JTDLS 기본형 체계 개발 경험과 10년이상 축적된 Link-K 단말 및 소프트웨어 개발 기술을 보유해 국내 전술데이터링크 분야에서 독보적 지위를 확보하고 있다.
Link-K는 국내 감시정찰 체계를 통해 수집한 전장 정보를 합동연동통제소 및 지상·함정·전투기·헬기 등 다양한 무기체계에 성공적으로 연결시켜 한국군 단독 작전 운용을 실현시킨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김연철 한화시스템 대표이사는 “미래전에서는 ‘초연결∙초지능 네트워크’ 구축이 필수적”이라며 “독보적인 기술력과 경험을 바탕으로 JTDLS 완성형 체계를 성공적으로 개발해내 첨단 스마트국방을 선도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11/17/20201117174518499453.jpg)
한국형 합동전술데이터링크체계(JTDLS) 완성형 체계 운용 개념도. [사진=한화시스템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