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은 전 세계적으로 두고두고 회자될 역사적인 한 해가 될 것입니다. 사상 초유의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지구촌 전체가 지금도 큰 변화를 겪고 있습니다.
사람들이 문화를 소비하는 방식에도 변화가 생겼습니다. 실시간 공연 중계와 온라인 콘서트 등이 점차 활성화되고 있는데요.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양우)가 지난 13일 코로나19 이후 문화생활에 대한 흥미로운 조사내용을 발표했습니다.
Q. 거대자료를 보면 코로나19 이후 문화생활이 얼마나 변화했나요?
A. 코로나19 일상과 관련한 감성어는 ‘우울’과 ‘짜증’ 등 부정 감성어가 높은 비중을 차지한 가운데, ‘위로’, ‘휴식’ 등 긍정 감성어도 나타났습니다. 긍정 감성어에 대한 연관어는 ‘먹는 것(음식·요리 등)’, ‘보는 것(영화·유튜브 등)’, ‘다니는 것(산책·드라이브 등)’에 집중됐습니다.
이 가운데 ‘보는 것’과 ‘다니는 것’의 언급량은 코로나19 이전(2019년 7월 1일~2020년 1월 19일) 대비 코로나19 이후(2020년 1월 20일~8월 14일) 각각 7.2%와 9% 줄었습니다. 하지만 ‘집에서 보다’ 관련 언급량은 23.4%, ‘집 근처를 다니다’ 관련 언급량은 23.2% 상승했죠.
Q. 사람들은 집에서 주로 어떻게 시간을 보내나요?
집 밖 공연장에서 즐기던 콘서트와 클래식이 비대면 온라인 공연으로 바뀌면서 집 안에서도 즐길 수 있게 된 게 큰 변화입니다.
코로나19 전후를 비교했을 때 ‘(문화 콘텐츠를) 보다’ 연관어 중 가장 높은 언급량 증가율을 보인 분야는 콘서트였으며, 드라마·독서·웹툰·클래식·게임 등이 그 뒤를 이었습니다. 특히, 음악 분야(콘서트·피아노·클래식·노래 등)에 대한 언급량 증가율이 두드러졌어요.
콘서트 주요 연관어로는 ‘소통’과 ‘유튜브’가 집계됐습니다. 주로 대중음악인들과 실시간 온라인 소통에 대한 만족을 표했는데요. 클래식 연관 핵심어로는 ‘무료’와 ‘동영상’이 등장했습니다. 거장들의 공연을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다는 점을 긍정적으로 언급했습니다. 온라인 공연의 유료화는 향후 풀어야 할 과제입니다.
드라마의 주요 연관어는 ‘집콕’과 ‘넷플릭스’로,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를 통해 다시보기, 몰아보기를 한 경험담을 공유했습니다.
독서는 ‘아이’ ‘엄마’ ‘독서모임’ ‘책스타그램’ ‘전자책’ ‘소리책(오디오북)’ 등이 핵심 연관어였습니다. 온라인 수업 기간 아이와 엄마가 함께 책을 읽는 모습, 온라인을 통해서 독서 관련 모임을 지속하고 누리소통망(SNS)에 책 표지를 인증하는 모습 등이 나타났습니다.
게임의 최상위 연관어는 ‘동숲(동물의 숲)’으로 코로나19 전 대비 언급량이 2611%나 급증했습니다. 경쟁으로 긴장감을 높이는 여타의 게임과 달리 느리고 단순한 설정으로 지친 마음을 치유한다는 의견이 많았습니다.
Q. 향후 정보기술(IT)을 활용한 비대면 콘텐츠 등이 더욱 늘어날까요?
비대면 콘텐츠가 새로운 예술 분야로 조금씩 자리잡고 있습니다. 문화 콘텐츠 소비 방식과 관련해서 생중계·실시간·채팅 언급량이 코로나19 이전 대비 각각 168%·81%·67% 상승하며 ‘실시간 소통’에 대한 높은 관심을 나타냈습니다.
“오프라인 공연을 온라인 공연으로 봐야 할 이유 중 하나는 실시간 채팅”이라며 ‘실시간 소통’에서 비대면 콘텐츠의 즐거움을 찾는 반응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전자책과 가상현실(VR) 언급량은 각각 65%와 26% 늘면서 정보기술(IT)을 이용한 콘텐츠에 주목하는 모습이었습니다.
조현래 문체부 국민소통실장은 “그동안 집 밖 공연장에서만 즐길 수 있었던 콘서트, 클래식 공연 등이 코로나19 일상에서는 집 안에서 볼 수 있는 콘텐츠가 되면서, 집 안에서의 문화생활이 확장된 것이 특징”이라며, “공연 예술가와의 실시간 소통이나 가상현실(VR) 등 기술 활용에 높은 관심을 나타낸 것처럼 정보기술을 활용한 비대면 문화콘텐츠가 코로나19 시대에 일상을 즐기는 중요한 수단이 되고 있다. 다양한 비대면 콘텐츠를 실험해볼 수 있도록 투자와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때”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