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온시스템이 미래차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한다. 전기차·수소차·자율주행차 등에 과감히 투자하고 판로를 확대해 2025년까지 연 매출 10조원, 친환경차 비중 40%를 달성한다는 목표다.
한온시스템은 10일 온라인으로 '버추얼 인베스터 데이'를 열고 자동차 열에너지 관리 분야 사업 혁신을 위한 중장기 전략을 발표했다.
한온시스템은 지난해 기준 매출의 15% 수준인 친환경차 비중을 2025년까지 40%로 높이고, 매출액 10조원, 세전·이자지급전이익(EBITDA) 1조4000억원을 달성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한온시스템은 이를 달성하기 위한 방안으로 △친환경차 제품 라인업의 선도적 시장 지위 확립 △미래차 연구·개발(R&D) 강화를 통한 기술 리더십 확보 △주요 거점별 환경 규제 대응과 미래차 부품 생산 능력 강화 등을 제시했다.
한온시스템의 전문 분야인 자동차 열 관리 솔루션은 미래차의 주행거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데다가 기존 내연 자동차와는 새로운 구동 방식이 필요한 제품들이 다수 포함돼 대표적인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꼽힌다.
최근 현대자동차의 'E-GMP', 폭스바겐의 'MEB' 등 주요 전기차 전용 플랫폼 수주에 성공해 양산이 진행 중이다. 이밖에도 다수의 글로벌 완성차 업체와 계약을 맺고 미래차 제품 공급을 준비 중에 있다.
또 전 세계 시장 점유율 1위인 전동 컴프레서의 생산량은 지난해 100만대에서 2025년 440만대까지 늘린다. 고효율 히트펌프 시스템 등 친환경차 핵심 전장부품 생산도 확대한다.
한온시스템은 기술 고도화를 위한 R&D 투자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한앤컴퍼니 인수 이후 2015년부터 지난해까지 5년간 1조3740억원을 투입했다.
자동차 업계의 불확실성이 커지는 상황에서도 한국(아태), 독일(유럽), 미국(북미)에 위치한 각 권역별 이노베이션 센터 중심으로 미래 기술 투자에 역량을 집중해왔다. 특히 2017년 40% 수준이던 친환경차 연구 인력을 지난해 56%까지 늘린 데 이어, 올해는 60% 이상 목표로 투자를 점차 확대하고 있다.
한온시스템은 주요 생산거점인 유럽과 중국 공장증설에도 만전을 기한다. 2025년까지 포르투갈의 파멜라 공장, 중국 다롄 공장의 전동컴프레서 생산라인 증설을 통해 각각 2.6배, 3.7배의 생산 확대를 계획 중이다. 브러시리스모터(BLDC) 기반 전동 쿨링 팬, 전동식 냉매 밸브, 배터리 쿨러 등의 친환경 핵심 라인업의 생산 능력도 강화한다.
한편 한온시스템은 코로나19 장기화에도 불구하고, 친환경차 수주 성과를 앞세워 호실적을 이어가고 있다. 지난 3분기에는 매출 1조9014억원, 영업이익 1196억원을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2.2%, 영업이익은 11.8% 증가했다.
한온시스템은 10일 온라인으로 '버추얼 인베스터 데이'를 열고 자동차 열에너지 관리 분야 사업 혁신을 위한 중장기 전략을 발표했다.
한온시스템은 지난해 기준 매출의 15% 수준인 친환경차 비중을 2025년까지 40%로 높이고, 매출액 10조원, 세전·이자지급전이익(EBITDA) 1조4000억원을 달성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한온시스템은 이를 달성하기 위한 방안으로 △친환경차 제품 라인업의 선도적 시장 지위 확립 △미래차 연구·개발(R&D) 강화를 통한 기술 리더십 확보 △주요 거점별 환경 규제 대응과 미래차 부품 생산 능력 강화 등을 제시했다.
한온시스템의 전문 분야인 자동차 열 관리 솔루션은 미래차의 주행거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데다가 기존 내연 자동차와는 새로운 구동 방식이 필요한 제품들이 다수 포함돼 대표적인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꼽힌다.
최근 현대자동차의 'E-GMP', 폭스바겐의 'MEB' 등 주요 전기차 전용 플랫폼 수주에 성공해 양산이 진행 중이다. 이밖에도 다수의 글로벌 완성차 업체와 계약을 맺고 미래차 제품 공급을 준비 중에 있다.
또 전 세계 시장 점유율 1위인 전동 컴프레서의 생산량은 지난해 100만대에서 2025년 440만대까지 늘린다. 고효율 히트펌프 시스템 등 친환경차 핵심 전장부품 생산도 확대한다.
한온시스템은 기술 고도화를 위한 R&D 투자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한앤컴퍼니 인수 이후 2015년부터 지난해까지 5년간 1조3740억원을 투입했다.
자동차 업계의 불확실성이 커지는 상황에서도 한국(아태), 독일(유럽), 미국(북미)에 위치한 각 권역별 이노베이션 센터 중심으로 미래 기술 투자에 역량을 집중해왔다. 특히 2017년 40% 수준이던 친환경차 연구 인력을 지난해 56%까지 늘린 데 이어, 올해는 60% 이상 목표로 투자를 점차 확대하고 있다.
한온시스템은 주요 생산거점인 유럽과 중국 공장증설에도 만전을 기한다. 2025년까지 포르투갈의 파멜라 공장, 중국 다롄 공장의 전동컴프레서 생산라인 증설을 통해 각각 2.6배, 3.7배의 생산 확대를 계획 중이다. 브러시리스모터(BLDC) 기반 전동 쿨링 팬, 전동식 냉매 밸브, 배터리 쿨러 등의 친환경 핵심 라인업의 생산 능력도 강화한다.
한편 한온시스템은 코로나19 장기화에도 불구하고, 친환경차 수주 성과를 앞세워 호실적을 이어가고 있다. 지난 3분기에는 매출 1조9014억원, 영업이익 1196억원을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2.2%, 영업이익은 11.8% 증가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11/10/20201110173820917844.png)
너달 쿠추카야 한온시스템 대표집행임원이 10일 온라인으로 열린 '버추얼 인베스터 데이'에서 회사의 중장기 목표를 발표하고 있다. [사진=한온시스템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