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서울 흑석동 중앙대학교 전경. [사진=중앙대 제공]](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11/09/20201109081929390729.jpg)
서울 흑석동 중앙대학교 전경. [사진=중앙대 제공]
고위공무원 등 2명을 대학원 박사 과정에 합격시키라는 강요했다는 의혹을 받는 중앙대학교 전 총장이 검찰 수사를 받고 있다.
9일 법조계와 교육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방검찰청 형사8부(이환기 부장검사)는 김모 전 총장을 위력에 의한 업무방해·강요미수 등 혐의로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
교수협에 따르면 김 전 총장은 2013년 부총장 근무 당시 A교수에게 전화로 대학원 입학 관련 청탁성 요청을 하며 심사위원들을 설득해달라고 했다. 통화 이후 A교수에게 구씨 등 2명 이력서 파일을 보냈다. 자신이 구모씨 등에게 박사 과정을 직접 권유했으니 3등 이내로 만들어 달라는 것이다.
이후 A교수는 김 전 총장 청탁을 심사위원 교수 2명에게 전달했다. 그러나 구씨 등은 오히려 부정적 평가를 받고 각 4등과 5등에 배정됐다. 다만 합격자 인원이 5명으로 늘어 이들은 합격권 안에 들었다.
그러자 김 전 총장은 A교수에게 화를 낸 것으로 전해졌다. 이후 A교수는 중앙대에서 표적감사를 받고 사직서를 제출받도록 강요받았다며 학교를 상대로 해고 무효확인 소송을 냈다.
중앙대 측은 "의혹 제기는 교수협 측 일방적 주장이며, 적법한 절차를 거쳐 이뤄졌다"고 입장을 냈다. 그러면서 "김 전 총장이 보낸 이메일 내용은 실현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원래 합격 예정 인원이 3명에 불과했다는 것도 사실이 아니라고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