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11/06/20201106111851784944.jpg)
총파업에 돌입한 초등 돌봄 전담사들이 6일 오전 서울 여의도 더불어민주당 당사 앞에서 결의대회를 열고 '돌봄교실 민영화 저지'와 '8시간 전일제 전환' 등 근무여건 개선 등을 교육 당국에 촉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학비노조)은 이날 오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더불어민주당 당사와 서울특별시교육청 등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온종일 돌봄법 철회와 돌봄전담사 노동 여건 개선을 촉구했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전국교육공무직본부·학비노조·전국여성노동조합이 속한 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학비연대)는 이날 돌봄전담사 1만2000명 중 절반가량인 6000여명이 파업에 동참했다고 밝혔다.
학비노조는 "온종일 돌봄 체계를 구축하는 법안은 환영하지만 돌봄을 지자체 민간위탁 돌봄으로 전환할 우려가 큰 온종일 돌봄법은 졸속이다"고 주장했다.
돌봄전담사 노동 여건 개선도 주장했다. 이들은 "시간제 돌봄을 폐지하고 8시간 전일제로 전환하면 교사들은 갑자기 떠안은 돌봄 업무에서 벗어나고, 돌봄전담사들은 그 업무를 부담하면 된다"며 국회에서 이를 바탕으로 한 예산안을 마련하라고 지적했다.
앞서 전국교직원노동조합·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등 교원단체들은 돌봄파업으로 인한 돌봄 공백을 교사가 대체하는 것은 위법이라 주장했다.
교육당국은 담임교사들을 활용해 교실 내에서 학생들을 관리하겠다는 방침이다. 마을 돌봄 기관도 활용하겠다고도 밝혔다. 또 학부모들에게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면 이날 하루 초등 자녀들이 돌봄교실을 이용하지 말아 달라고 양해를 구했다.
그러나 자녀를 맡길 곳이 없는 맞벌이·저소득층·한부모 가정을 중심으로 불편은 불가피해 보인다. 더욱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로 사회적 거리두기가 계속되면서 가정 내 돌봄 부담이 늘어난 상황이라 교육부 책임론도 등장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