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11/05/20201105181332690698.jpg)
무신사 입점 브랜드 이미지. [사진=무신사 제공]
온라인 패션 플랫폼 무신사는 파트너십 전략이 매출 성장을 이끌고 있다고 5일 밝혔다.
지난 2018년부터 무신사가 파트너십을 강화하고 있는 100개 브랜드를 대상으로 올해 1월부터 10월까지 거래금액을 전년 동기와 비교한 결과 최대 10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중 올해부터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기 시작한 일부 브랜드는 평균 5배 이상 거래액이 늘었다.
입점 브랜드와 양사가 보유한 역량이 시너지를 내며 매출 성장을 견인한 것이라 는 설명이다. 특히 브랜드와 무신사가 파트너십을 강화해 단독 및 한정으로 출시한 기획 상품과 공동 협력 마케팅 전략이 주효했다고 분석했다.
누적 700만 회원을 돌파한 무신사의 성장세도 큰 역할을 했다. 입점 브랜드와 상품을 돋보이게 하고 고객과의 접점을 만드는 콘텐츠와 마케팅 프로모션이 브랜드 매출 상승을 이끄는 원동력으로 작용하는 셈이다. 무신사는 브랜드 쇼케이스, 프레젠테이션, 스타일 화보 등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서울 주요 지역 옥외 전광판 광고, 벽화 아트 등 다양한 마케팅 홍보 캠페인을 전개하며 브랜드를 알리고 있다.
성장세에 힘입어 긴밀한 파트너십을 맺고 무신사에 단독으로 상품을 판매하고 마케팅을 집중하려는 브랜드도 계속 늘고 있다. 대형 패션 업체 중 무신사와 손잡고 타겟 연령을 낮춰 이미지 변신에 성공한 브랜드도 눈에 띈다. ‘밀레 클래식’은 지난 2월 인기 있는 유튜버와의 협업한 상품을 무신사 한정으로 출시해 당일 모두 완판을 달성했다. 펜필드는 지난해 연간 거래액이 전년 대비 15배 증가했으며, 올해는 10월 말 기준으로 전년 동기 대비 4배 늘었다.
컨버스는 지난 5월 무신사 단독 래플 ‘컨버스×피어 오브 갓 에센셜 척 70’을 실시해 3일 만에 12만명이 응모할 정도로 높은 호응을 얻었다. 8월에는 ‘런스타 하이크 로우 시리즈’를 무신사 한정 판매하며 이벤트를 진행한 결과 1000명 이상이 댓글을 남기는 등 주목을 받았다. 이러한 성과에 힘입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2배 이상 증가한 거래액을 기대하고 있다.
신생 브랜드도 판매 채널을 무신사에 집중하는 경우가 늘었다. 사업 자금, 판매 노하우가 필요한 브랜드는 높은 집객 효과와 인프라가 갖춰진 무신사에 중점을 두는 것이 효율적이라 판단한 것이다. 올 초 론칭한 코닥(Kodak)과 파츠(Parts)는 이미 10월 말 기준으로 매출이 각각 8억, 6억 이상 돌파했다. 지난해 말 파트너십을 쌓기 시작한 골스튜디오는 동기간 대비 10배 이상의 거래액을 달성했다.
높은 인지도와 영향력을 확보한 커버낫, 앤더슨벨, 디스이즈네버댓, 엘엠씨 등도 무신사와 지속적인 파트너십을 통해 매출을 확보하고 있다.
한문일 무신사 성장전략본부장은 “무신사는 지난 10년간 국내 유수의 중소 패션 브랜드와 함께 호흡하며 온라인 기반의 패션 시장을 만들어왔다”며 “브랜드와의 상생 전략을 바탕으로 브랜드가 매출과 인지도를 높일 수 있는 마케팅과 판매 전략을 계속 개발해 고객과의 접점을 높이는 플랫폼으로서 영향력을 확대해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지난 2018년부터 무신사가 파트너십을 강화하고 있는 100개 브랜드를 대상으로 올해 1월부터 10월까지 거래금액을 전년 동기와 비교한 결과 최대 10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중 올해부터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기 시작한 일부 브랜드는 평균 5배 이상 거래액이 늘었다.
입점 브랜드와 양사가 보유한 역량이 시너지를 내며 매출 성장을 견인한 것이라 는 설명이다. 특히 브랜드와 무신사가 파트너십을 강화해 단독 및 한정으로 출시한 기획 상품과 공동 협력 마케팅 전략이 주효했다고 분석했다.
누적 700만 회원을 돌파한 무신사의 성장세도 큰 역할을 했다. 입점 브랜드와 상품을 돋보이게 하고 고객과의 접점을 만드는 콘텐츠와 마케팅 프로모션이 브랜드 매출 상승을 이끄는 원동력으로 작용하는 셈이다. 무신사는 브랜드 쇼케이스, 프레젠테이션, 스타일 화보 등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서울 주요 지역 옥외 전광판 광고, 벽화 아트 등 다양한 마케팅 홍보 캠페인을 전개하며 브랜드를 알리고 있다.
컨버스는 지난 5월 무신사 단독 래플 ‘컨버스×피어 오브 갓 에센셜 척 70’을 실시해 3일 만에 12만명이 응모할 정도로 높은 호응을 얻었다. 8월에는 ‘런스타 하이크 로우 시리즈’를 무신사 한정 판매하며 이벤트를 진행한 결과 1000명 이상이 댓글을 남기는 등 주목을 받았다. 이러한 성과에 힘입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2배 이상 증가한 거래액을 기대하고 있다.
신생 브랜드도 판매 채널을 무신사에 집중하는 경우가 늘었다. 사업 자금, 판매 노하우가 필요한 브랜드는 높은 집객 효과와 인프라가 갖춰진 무신사에 중점을 두는 것이 효율적이라 판단한 것이다. 올 초 론칭한 코닥(Kodak)과 파츠(Parts)는 이미 10월 말 기준으로 매출이 각각 8억, 6억 이상 돌파했다. 지난해 말 파트너십을 쌓기 시작한 골스튜디오는 동기간 대비 10배 이상의 거래액을 달성했다.
높은 인지도와 영향력을 확보한 커버낫, 앤더슨벨, 디스이즈네버댓, 엘엠씨 등도 무신사와 지속적인 파트너십을 통해 매출을 확보하고 있다.
한문일 무신사 성장전략본부장은 “무신사는 지난 10년간 국내 유수의 중소 패션 브랜드와 함께 호흡하며 온라인 기반의 패션 시장을 만들어왔다”며 “브랜드와의 상생 전략을 바탕으로 브랜드가 매출과 인지도를 높일 수 있는 마케팅과 판매 전략을 계속 개발해 고객과의 접점을 높이는 플랫폼으로서 영향력을 확대해갈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