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코로나19 위기를 혁신의 기회로 삼기 위해 지난 7월 14일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그 핵심 전략의 한 축으로 그린뉴딜이 담겼다.
그러나 문제는 여전히 한국 사회에서는 그린뉴딜 정책이 생소할뿐더러 산업 전반에 걸쳐 이를 구현해나가는 것 역시 쉽지 않다는 데 있다.
탄소중립을 지향하지만, 아직은 구체적인 탄소배출 감축 목표와 시한이 제시되지 않은 점 역시 아쉽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렇다 보니 실제 그린뉴딜이 국내 산업계에 안정적으로 자리를 잡기 위해서는 장기 로드맵 구현이 필요하다는 조언이 이어진다.
특히,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한국 그린뉴딜은 기후위기에 대한 사회인식을 변화시키고 사회 및 경제 구조 전반의 대전환을 유도하는 종합대책을 지향해야 하며, 이를 위해 더 과감하고 일관적이며 뚜렷한 목표를 설정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더디플로맷(The Diplomat), 로이터(Reuters) 등 외신은 한국 그린뉴딜이 환경보다는 일자리 창출과 기업 이익에 방점이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장기적인 친환경 경제 이행을 위한 계획 수립을 주문하기도 했다.
한국 그린뉴딜은 기후변화 위기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고 사회 전체가 친환경 녹색경제로의 전환을 지향하도록 더 과감하고 일관적이며 뚜렷한 정책 목표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는 게 KIEP의 시각이다.
2050년 탄소중립 목표를 가능한 명시하고, 기존의 기후·환경 정책과의 일관성을 찾아야 실질적인 그린뉴딜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라는 얘기도 들린다.
KIEP는 한국 그린뉴딜 정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2050년 탄소중립을 명시하고, 그에 따른 구체적인 탄소배출량 감축 목표와 목표 달성을 위한 장기적 로드맵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는 점도 강조했다.
KIEP 관계자는 "기후위기는 전 지구적 대응이 필요한 현상이고 세계적으로도 기후변화 대응이 주요 의제로 채택되고 있다"며 "이런 상황에서 국제협력 및 해외진출 등과 연계해 그린뉴딜의 세부 추진과제를 확대·발전 시켜 나가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