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기업평가사이트 CEO스코어가 국내 500대 기업 가운데 온실가스 배출량 명세서를 제출한 기업 200곳을 조사한 결과, 매출액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온실가스 배출 원단위)이 2017년 매출 1억원당 25.3t(톤)에서 지난해 24.7t으로 2.4% 줄었다.
최근 2년 새 이들 기업의 총 매출이 1904조원에서 2019년에는 1946조원으로 2.2% 증가한 데 비해 정부의 그린뉴딜 정책하에 온실가스 배출량은 2017년 4억8\235만t에서 지난해 4억8118만t으로 0.2% 줄인 결과다. '온실가스 배출 원단위'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경제활동 지표로 나눈 값을 뜻한다.
전체 19개 업종 가운데 15개 업종에서 온실가스를 줄였다. 특히 에너지 업종은 2017년 매출 1억원당 236.2t에서 2019년 144.3t으로 38.9%를 줄여 감소폭이 가장 컸다.
이어 운송(-15.5%)과 생활용품(-14.6%), 유통(14.4%), 식음료(-13.3%), 제약(-13.1%) 등이 두 자릿수 감소율을 기록했다.
반면 IT·전기전자(13.2%)와 철강(6.9%), 통신(5.4%) 등은 원단위 배출량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기업은 조사 기간인 2년 전보다 매출이 줄면서 상대적으로 온실가스 배출 원단위가 늘었다는 게 CEO스코어측의 설명이다.
기업별로는 포스코에너지가 2017년 698.3t에서 2019년 307.3t으로 절반 이상(-56.0%) 줄였다. 원단위 배출량이 50% 이상 줄어든 곳은 포스코에너지가 유일하다.
이어 신세계(-49.8%), 카펙발레오(-48.6%), LG전자(-47.8%), 국도화학(-47.2%), 오리온(-47.1%), KCC(-45.4%), 한솔테크닉스(-43.8%), KG케미칼(-43.5%) 등의 순으로 많이 감소했다.
온실가스 배출 원단위를 10% 이상 줄인 곳은 총 67곳으로, 조사 대상 기업 10곳 중 3곳이 배출량을 두 자릿수 이상 줄였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09/29/20200929073406161141.jpg)
[사진=고양시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