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09/27/20200927110428938415.jpg)
[중기중앙회 제공]
코로나19 여파로 경기가 얼어붙으면서 서울지역 소상공인 10명 중 9명이 올해 상반기 매출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소상공인의 30%는 정부와 지자체의 지원제도를 활용하지 못한 것으로 조사됐다.
중소기업중앙회 서울지역본부가 27일 서울시 소기업소상공인연합회와 공동으로 서울 소재 소상공인 102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코로나19 위기대응 소기업·소상공인 경영실태조사’ 결과, 응답기업의 89.2%는 올해 상반기 매출이 지난해와 비교해 감소했다고 답변했다. 지난해보다 매출이 증가한 소상공인 비중은 1.3%에 불과했다.
코로나19 영향이 없었던 지난해 하반기와 비교해도 소상공인의 87.4%는 올해 상반기 매출이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코로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09/27/20200927110524756288.jpg)
전년 동기 대비 2020년 상반기 매출 동향(단위: %)[표 = 중기중앙회]
지원제도를 활용하지 못한 소상공인의 절반 이상(52.4%)은 ‘신청했으나 지원 대상에서 제외됐다’고 응답했다. △지원제도 내용은 알지만 미활용(26.5%) △지원제도 내용을 알지 못함(21.1%) 등이 뒤를 이었다.
활용한 지원제도 중 가장 도움이 됐던 제도는 △자영업자 생존자금(33.1%) △서울시 재난긴급 생활비 지원(26.6%) △코로나19 긴급고용안정 지원금(14.1%) 등의 순으로 꼽았다.
코로나19 위기극복을 위한 가장 지원이 필요한 분야로는 절반 이상(58.3%)이 ‘운영자금’을 지목했다. 이어 △세금감면(22.1%) △방역·위생 안전(7.4%) 순이다.
양갑수 중기중앙회 서울지역본부장은 “전반적으로 매출액 1억원 미만의 소상공인들의 피해 체감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지원제도 활용 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나 영세 소상공인에 대한 사회안전망은 여전히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