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09/23/20200923022604385211.jpg)
문재인 대통령이 23일 오전(한국시간) 미국 뉴욕 유엔총회장에서 열린 75차 유엔총회에서 기조연설을 영상으로 전하고 있다. [사진=청와대 제공]
또한 북한을 포함한 중국·일본·몽골 등이 참여하는 ‘동북아시아 방역·보건 협력체’를 제안하며 종전선언에 대한 국제사회의 도움을 호소했다.
특히 문 대통령은 “올해는 한국전쟁이 발발한 지 70년이 되는 해다. 한반도에 남아있는 비극적 상황을 끝낼 때가 됐다”며 국제사회의 지지와 협력을 촉구했다.
문 대통령은 “한반도의 평화는 동북아시아의 평화를 보장하고, 나아가 세계 질서의 변화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며 “종전선언을 통해 화해와 번영의 시대로 전진할 수 있도록 유엔과 국제사회도 힘을 모아주길 바란다”고 호소했다.
그러면서 “한반도 평화는 아직 미완성 상태에 있고, 희망 가득했던 변화도 중단됐으나 한국은 대화를 이어나갈 것”이라고 남북대화 의지를 재확인했다.
문 대통령은 이어 “한국은 K-방역뿐 아니라, 평화를 제도화하고 그 소중한 경험을 국제사회와 나누고 싶다”면서 “다자적 안보와 세계평화를 향한 유엔의 노력에 앞장서 기여하는 길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북한과 국제사회의 다자적 협력체제 구축의 일환으로 남북을 비롯해 중국, 일본, 몽골이 함께 참여하는 ‘동북아시아 방역·보건 협력체’ 창설도 제안했다.
문 대통령은 협력체와 관련해 “여러 나라가 함께 생명을 지키고 안전을 보장하는 협력체는 북한이 국제사회와의 다자적 협력으로 안보를 보장받는 토대가 될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아울러 문 대통령은 △코로나19 백신·치료제의 공평한 접근권 △연대·협력의 다자주의 및 규범에 입각한 자유무역질서 강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노력 등을 관련 과제로 꼽았다.
청와대는 문 대통령의 이번 연설에 대해 “창설 75주년을 맞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 유엔의 새로운 역할로서 ‘포용성이 강화된 국제협력’을 통한 전 지구적 난제 해결 노력을 제시하고, 동북아시아 방역·보건 협력체 창설 및 한반도 종전선언에 대한 유엔과 국제사회의 관심과 지지를 당부한 계기가 됐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