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조선업계에 따르면 IMO는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올해 1월 1일부터 선박 연료에 포함된 황 함량 비중을 당초 3.5%에서 0.5%로 낮추는 환경규제를 시행했다.
특히 IMO는 국제 해운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저감하기 위해 오는 2030년까지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2008년 대비 40% 감축하겠다는 목표다. 2050년까지는 전체 선박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70%, 온실가스 배출량 50% 이상을 감소하는 것을 목표로 세우기도 했다.
규제에 따라 고유황 정유를 사용하던 선박들은 선박에 탈황설비(스크러버)를 추가하거나 저유황유로 연료를 바꿔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황산화물 등 오염물질 배출량이 적은 LNG(액화천연가스) 추진선이 필요하다.
실제로 2020년 8월 현재 IMO 환경규제 관련 주요국 출원인의 특허등록 건수를 보면, 국내 빅3 조선사의 특허출원과 등록이 가장 많았다. 대우조선해양은 LNG 관련 국내외 특허출원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삼성중공업은 특허출원 건수에 비해 등록건수가 상대적으로 많아 특허 품질관리에 상당히 공을 들인 것으로 분석된다.
이처럼 IMO의 환경 규제는 자연스럽게 조선업계의 디지털화와 스마트화로 이어지고 있다. 특히 ICT 기술융합 기반의 스마트화가 눈에 띈다. 스마트 선박(smartship)이나 자율운항선박 및 생산·건조 자동화를 통한 스마트 조선소(smartyard)의 발전이 속도감 있게 진행되고 있다.
스마트 선박 기술력의 경우, 전세계적으로 탑티어(TOP-TIER : 최고 수준의 레벨) 수준인 설계능력을 빅데이터로 대체하고 기존 건조공정의 강점도 연결플랫폼, AR·VR 기반의 작업표준으로 대체하는 등 스마트 조선소로의 변모도 빨라질 전망이다. 물론 일각에서는 선박 건조단계의 작업공정 자동화, 표준화가 이뤄져 고기능·고숙련 인력수요도 상대적으로 감소할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스마트 선박과 관련한 지능화·스마트화로 자율운항선박의 상용화도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라면서 “지능화된 선박은 다양한 화주 및 선주의 요구에 부합하는 동시에 IMO의 규제에 부응할 수 있어 친환경 스마트 선박 시대가 머잖아 본격화 될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