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임대시장 안정화 대책이 빠졌다는 점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지금도 전·월세 수요가 공급을 웃도는 상황인데, 추가로 공급한 주택 청약 당첨자들 대다수가 임대시장으로 몰리면 폭등세가 자명하다는 이유에서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09/08/20200908105038160872.jpg)
사전청약 지역별 물량 표.[자료 = 국토부]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패닉바잉 수요층이었던 30~40대가 합리적인 분양가로 집을 마련할 수 있는 사전청약에 관심을 보이면서 주택수요 쏠림현상을 분산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
이어 그는 “다만 무주택자가 임대차 시장에 머물면서 전·월세 가격의 꾸준한 오름세가 지속될 수 있다는 점을 우려되는 부분”이라고 부연했다.
송승현 도시와경제 대표는 “전세가 부족하면 준전세나 월세로 갈 수밖에 없다”며 “만약 정부 사정에 의해 입주가 지연되면 당첨자들은 임대료를 기약없이 내야 한다”고 지적했다.
착공하기도 전에 미리 분양하는 사전청약의 경우 실제 입주까지 짧게는 3년에서 최대 4~5년까지 걸리기에 수급문제뿐 아니라 임대료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얘기다.
특히 최근 임대시장을 보면 전세 수요가 공급에 비해 부족한 현상이 지속되고 있는 만큼 향후 전·월세값이 더 오를 가능성이 크다.
실제로 수도권 아파트 전세수급동향지수는 지난달 기준 115.4를 기록해 이번 정부가 출범한 지난 2017년5월 이래 최고치를 찍었다.
전국 공인중개사를 대상으로 설문해 0에서 200까지 산출하는 이 지수는 100보다 높을수록 공급량이 수요보다 부족하다는 의미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책임연구원도 “주택공급대책을 가시적으로 보여주는 사전청약 등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지만, 임대차시장에 대한 고려가 전혀 없다는 건 아쉬운 부분”이라고 지적했다.
또 이 연구원은 "임대시장에서 특히 전세매물 감소 문제는 더욱 악화할 가능성이 크다”며 “법인과 임대주택사업자를 규제하는 등 최근 정책이 모두 임대시장 매물을 줄이고 있었기 때문"이라고 부연했다.
집값 상승세를 막기 위해 다주택자를 규제한 결과 임대시장의 공급자가 줄어드는 상황에서 막대한 새 아파트 청약까지 풀렸다는 얘기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09/08/20200908105117409830.jpg)
[자료 = 한국감정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