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09/06/20200906094921902800.jpg)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제공]
6일 단말기 업계에 따르면, 시장조사기관 스트래티지애널리틱스(SA)는 지난 1일 '글로벌 스마트폰 출하량 예측 보고서'를 내고 올해 글로벌 스마트폰 출하량은 12억6000만대로 작년 대비 11%p 감소할 것이라고 밝혔다.
당초 SA는 올해 시장 규모를 11억9000만대로 작년보다 15.6%p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지만, 미국, 유럽, 인도 등 주요 시장에서 코로나19로 인한 상반기 판매량 감소가 예상보다 적었다며 전망치를 상향 조정했다.
이는 재택근무로 인한 모바일 기기 수요 증가, 각국의 소비 활성화를 위한 지원금 지급, 제조사와 이동통신사의 제품 가격 인하 등의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SA 측은 설명했다.
구체적으로 올해 삼성전자가 2억6500만대를 출하해 21%의 시장점유율로 1위를 유지하고, 애플이 1억9200만대(15.3%)를 출하해 2위에 올라설 것으로 예상했다. 작년 2위를 기록했던 화웨이는 1억9000만대(15.1%)를 출하해 3위로 떨어질 전망이다.
작년보다 삼성전자 점유율은 0.1%p, 애플 점유율은 1.3%p 오르지만, 화웨이는 미국 정부의 제재가 계속됨에 따라 1.9%p 감소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특히 SA는 화웨이가 비축한 스마트폰 칩셋(AP)을 다 사용하는 2021년에는 점유율이 4.3%로 크게 줄어들고, 대신 샤오미, 오포, 비보 등 다른 중국 제조사의 점유율이 7~8%에서 10% 안팎으로 크게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린다 수이 SA 스마트폰 전략 이사는 "중국 시장에선 중국 제조사가, 글로벌 시장에선 애플과 삼성전자가 화웨이 플래그십 스마트폰을 대체할 전망"이라며 "전 세계적으로 샤오미, 오포, 비보, 애플, 삼성전자, LG전자 등이 미국의 화웨이 제재의 수혜를 볼 전망"이라고 분석했다.
또한 SA는 내년 경제 회복과 5G, 폴더블 디스플레이 같은 신기술의 영향으로 스마트폰 시장이 올해 대비 9%p 성장할 것으로 예측했다. 하지만 지난해와 같은 수준인 14억대 출하량을 회복하려면 3년의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