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이 24시간 중환자실을 지키며 환자 상태를 살핀다. 해외에서 사고를 당해도 당황할 필요 없다. 위치를 바로 파악해 주변 병원과 재외공관 등을 연계해준다.
기획재정부가 1일 발표한 '2021년 예산안'에는 이런 내용이 담긴 국민의 삶을 개선하기 위한 특색산업이 포함됐다.
내년에 71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AI 기반 임상 의사결정시스템을 개발한다. 이는 심전도·맥박·호흡 등 중환자실 환자의 생체신호 데이터를 수집·분석해 심정지 등의 위기를 예측하고 환자의 중증도를 평가해 알려준다.
이를 위해 중환자 기본 모니터링과 심장·호흡기 데이터 등을 토대로 한국인 중환자 특화 데이터셋(K-MIMIC) 플랫폼을 개발한다. 환자 진료에 있어 진단·치료·처방 등 의사 결정을 지원해주는 의료정보 기술시스템 개발에도 착수한다.
위치 기반 사건·사고 대응 시스템 구축에는 21억원을 배정했다. 첨단 지리정보시스템(GIS)을 활용하면 사고 지점을 지체 없이 파악할 수 있다. 지금은 4분이 걸린다.
사고 지점과 관할 재외공관, 병원, 경찰 등 현지 지리 정보를 연계해 상담관이 신속하고 정확한 조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대응 속도 향상으로 골든타임 확보도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해외안전안내문자 발송은 현재 통신사 로밍서비스 기반 200여 국가 단위로 이뤄진다. 내년에 GIS를 활용하면 1000여 도시·지역 단위로 발송해 체류자의 위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아울러 보이는 112 시스템 구축에 7조8000억원을 투자한다. 경찰청이 문자로 보낸 일회용 URL을 클릭하면 현장 위치와 현장 영상 전송이 이뤄진다.
신고자의 정확한 위치와 생생한 사건 현장 상황을 즉시 파악할 수 있어 적정 인원이 출동 가능해진다. 위급 상황 시 신고자 생명 보호와 함께 현장 출동 경찰관의 효과적인 대응도 기대할 수 있다.
아울러 내년에는 드론 활용도를 높인다. 산불 진화를 위한 특수드론 30대 보급을 위해 46억원을 배정했다. 야간 산불 등 헬기 진화가 어려운 상황에 드론 진화대를 활용하면 조기 진화가 가능하고 진화 인력의 안전성도 확보할 수 있다.
산간 오지에 있어 관찰하기 어려운 문화재도 드론이 관리한다. 접근성이 떨어지는 문화재를 예방·관찰하고 재난 시 실시간 대응이 가능하도록 총 15억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전국 10여개 문화재 현장에 자율주행 순찰과 자동 출동 및 비상방송, 실시간 영상전송 기능을 갖춘 드론장비를 도입·활용할 방침이다.
또 20억원을 들여 무인헬기(드론) 4대를 도입한다. 지능화·조직화되는 불법 조업 외국어선을 감시·단속해 해양주권을 지키고 불법 현장 채증, 경비함정의 접근이 어려운 해역 감시와 수색에 활용할 예정이다.
이와 더불어 소형 사다리차도 확충한다. 소방차가 진입하기 어려운 좁은 길을 갈 수 있도록 전장을 맞춰 설계했다. 기존 사다리차 전장이 12~13m인 데 반해 소형 사다리차의 전장은 6~8m로 절반 수준에 불과하다. 올해 57억원의 예산을 들여 19대를 확보한 후 2022년 19대, 2023년 19대씩 추가 확보할 방침이다.
기재부는 "전통시장 같은 협소한 상업지역과 밀집 주거지역 등에서 발생한 재난 현장에 대한 접근성이 높아질 것"이라며 "재난 골든타임 확보로 인명과 재산피해가 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산불 전문 진화차도 확충한다. 4륜 구동 장착으로 산악지역의 진·출입이 용이하고 원거리 송수(90m)가 가능한 산불 전문 진화차를 보강하기 위해 37억5000원을 배정했다. 올해부터 2023년까지 매년 10씩 총 30대를 확보할 계획이다.
세계 최초로 디지털 해양교통체계도 도입한다. 해양사고 예방·저감과 선박·항만 운영 효율화를 위해 선박 8000척을 대상으로 해상교통정보 서비스를 24시간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연안에서 100㎞ 해상까지 초고속 해상무선통신망을 구성·운영할 계획이다. 여기에 총 136억원이 쓰인다.
또 스마트폰만 있으면 신분 확인이 가능해진다. 정부는 22억4000만원을 들여 주민등록증 모바일 확인시스템을 구축한다. 이 시스템만 있으면 생년월일과 사진, 주소, 발급기관, 일자 등 주민등록증 기재 사항을 확인할 수 있다. 정부는 주민등록증을 가지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없고 분실 위험이 줄 것으로 기대했다. 또 분실·훼손으로 인한 재발급 비용 절감도 가능하다.
해양에 매립되는 석탄재는 시멘트 원료로 재활용 가능할 수 있게 된다. 100억원을 들여 서해안 발전소의 석탄재를 동해안 시멘트 사(社) 원료로 재활용하기 위해 보관시설을 신설하고 운송파이프를 설치한다.
기획재정부가 1일 발표한 '2021년 예산안'에는 이런 내용이 담긴 국민의 삶을 개선하기 위한 특색산업이 포함됐다.
내년에 71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AI 기반 임상 의사결정시스템을 개발한다. 이는 심전도·맥박·호흡 등 중환자실 환자의 생체신호 데이터를 수집·분석해 심정지 등의 위기를 예측하고 환자의 중증도를 평가해 알려준다.
이를 위해 중환자 기본 모니터링과 심장·호흡기 데이터 등을 토대로 한국인 중환자 특화 데이터셋(K-MIMIC) 플랫폼을 개발한다. 환자 진료에 있어 진단·치료·처방 등 의사 결정을 지원해주는 의료정보 기술시스템 개발에도 착수한다.
위치 기반 사건·사고 대응 시스템 구축에는 21억원을 배정했다. 첨단 지리정보시스템(GIS)을 활용하면 사고 지점을 지체 없이 파악할 수 있다. 지금은 4분이 걸린다.
사고 지점과 관할 재외공관, 병원, 경찰 등 현지 지리 정보를 연계해 상담관이 신속하고 정확한 조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대응 속도 향상으로 골든타임 확보도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해외안전안내문자 발송은 현재 통신사 로밍서비스 기반 200여 국가 단위로 이뤄진다. 내년에 GIS를 활용하면 1000여 도시·지역 단위로 발송해 체류자의 위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아울러 보이는 112 시스템 구축에 7조8000억원을 투자한다. 경찰청이 문자로 보낸 일회용 URL을 클릭하면 현장 위치와 현장 영상 전송이 이뤄진다.
산간 오지에 있어 관찰하기 어려운 문화재도 드론이 관리한다. 접근성이 떨어지는 문화재를 예방·관찰하고 재난 시 실시간 대응이 가능하도록 총 15억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전국 10여개 문화재 현장에 자율주행 순찰과 자동 출동 및 비상방송, 실시간 영상전송 기능을 갖춘 드론장비를 도입·활용할 방침이다.
또 20억원을 들여 무인헬기(드론) 4대를 도입한다. 지능화·조직화되는 불법 조업 외국어선을 감시·단속해 해양주권을 지키고 불법 현장 채증, 경비함정의 접근이 어려운 해역 감시와 수색에 활용할 예정이다.
이와 더불어 소형 사다리차도 확충한다. 소방차가 진입하기 어려운 좁은 길을 갈 수 있도록 전장을 맞춰 설계했다. 기존 사다리차 전장이 12~13m인 데 반해 소형 사다리차의 전장은 6~8m로 절반 수준에 불과하다. 올해 57억원의 예산을 들여 19대를 확보한 후 2022년 19대, 2023년 19대씩 추가 확보할 방침이다.
기재부는 "전통시장 같은 협소한 상업지역과 밀집 주거지역 등에서 발생한 재난 현장에 대한 접근성이 높아질 것"이라며 "재난 골든타임 확보로 인명과 재산피해가 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산불 전문 진화차도 확충한다. 4륜 구동 장착으로 산악지역의 진·출입이 용이하고 원거리 송수(90m)가 가능한 산불 전문 진화차를 보강하기 위해 37억5000원을 배정했다. 올해부터 2023년까지 매년 10씩 총 30대를 확보할 계획이다.
세계 최초로 디지털 해양교통체계도 도입한다. 해양사고 예방·저감과 선박·항만 운영 효율화를 위해 선박 8000척을 대상으로 해상교통정보 서비스를 24시간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연안에서 100㎞ 해상까지 초고속 해상무선통신망을 구성·운영할 계획이다. 여기에 총 136억원이 쓰인다.
또 스마트폰만 있으면 신분 확인이 가능해진다. 정부는 22억4000만원을 들여 주민등록증 모바일 확인시스템을 구축한다. 이 시스템만 있으면 생년월일과 사진, 주소, 발급기관, 일자 등 주민등록증 기재 사항을 확인할 수 있다. 정부는 주민등록증을 가지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없고 분실 위험이 줄 것으로 기대했다. 또 분실·훼손으로 인한 재발급 비용 절감도 가능하다.
해양에 매립되는 석탄재는 시멘트 원료로 재활용 가능할 수 있게 된다. 100억원을 들여 서해안 발전소의 석탄재를 동해안 시멘트 사(社) 원료로 재활용하기 위해 보관시설을 신설하고 운송파이프를 설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