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코스피 시총 비중 3년 반 만에 최소

2020-08-23 16:02
  • 글자크기 설정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외국인 투자자가 차지하는 코스피 시가총액 비중이 3년 반 만에 가장 작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2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달 들어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이 보유한 주식의 시총 비중 평균치는 35.78%를 기록했다. 월평균 기준 2017년 2월(35.74%) 이후 최소치다.
코로나19 확산 이후 외국인 투자자가 매도 행진을 벌여온 탓이다. 외국인은 코스피가 연중 최저치였던 지난 3월 19일(종가 기준 1457.64) 이후 현재까지 12조7000억원을 팔아치웠다.

그 결과 코스피 시총 비중은 3월 19일 기준 39.00%에서 꾸준히 줄어 지난 21일 기준 35.66%까지 축소됐다.

같은 기간 코스닥 시장에서도 외국인은 1조2000억원을 순매도했다. 외국인 코스닥 시총 비중은 지난 3월 20일 11.10%에서 지난 21일 9.73%까지 줄었다.

코로나19로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에서 신흥국의 경기 회복세에 대한 의구심이 여전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김후정 연구원은 "일반적으로 달러 약세는 신흥국 주식 시장으로의 투자로 이어졌지만, 올해는 달러 약세가 신흥국주식시장으로의 자금 이동을 가져오기 못하고 있다"며 "안전자산선호로 (외국 기관 투자자) 자금이 주식에서 채권으로 움직이고 있다"고 했다.

그럼에도 주식시장이 강세를 이어가는 이유에 대해서는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지만, 간접투자보다는 직접투자가 선호되는 것이 큰 요인"이라고 말했다.

이 때문에 외국인이 돌아오기 위해서는 코로나19 안정화와 거시경기 회복이 선행돼야 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김용구 삼성증권 연구원은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에 따른 의구심 해소가 필요하다"며 "궁극적인 상황 타개를 위해선 실물경기 개선 여부가 관건일 것이나 당장 시각선회를 위해선 4분기께 구체화될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 여부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경기 회복 신호를 주기 위해서 "당장의 시금석은 중국 재고축적 재개가 될 공산이 크다"며 "중국 측 2분기 코로나19 총력대응에 이은 3분기 실물경기 정상화 과정을 상정할 경우, 올 4분기는 재고축적 재개와 세계 여타 신흥국으로의 경기 모멘텀 낙수효과 발현의 분수령에 해당한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