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갈등에 튄 불씨...개성공단은 어디?

2020-06-17 09:33
  • 글자크기 설정

6·15공동선언 결실로 탄생한 '개성공단'

남북갈등 때마다 압박카드로 등장해

북한 "개성공단에 군부대 주둔시킬 것"

 

[사진=게티이미지뱅크]


2018년 판문점 선언의 결실인 남북공동연락사무소가 폭파로 무너지면서 개성공단의 미래도 불투명해졌다. 남북 갈등이 생길 때마다 불씨가 개성공단까지 튀었기 때문이다.

남한과 가장 가까운 북한의 대도시인 개성에는 지난 2000년 6·15공동선언의 결실인 개성공단이 위치해 있다. 당초 개성공단은 800만평 규모의 공단과 1200만평의 배후단지 등 총 2000만평 규모로 조성해 5000개 기업을 유치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현재는 1단계 100만평이 조성된 이후 확장은 일시 정지 상태다.
개성공단은 남측의 현대아산과 북측의 조선민족경제협력연합회(민경련), 조선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회(아태)가 손을 맞잡으며 탄생했다. 남측의 자본과 기술, 북측의 토지와 인력이 결합한 개성공단은 2003년 12월 15일 첫 제품을 생산하며 시작됐다.

하지만 남북이 갈등을 빚을 때마다 개성공단은 우여곡절을 겪었다. 이명박 정부 시절인 2013년 4월에는 북측이 개성공단 가동 잠정 중단과 북한 근로자 철수를 선언하며 군부대 재주둔을 언급했다. 박근혜 정부 때인 2016년에는 정부가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발사에 대한 대북 압박 카드 일환으로 개성공단 전면 중단과 남측 입주기업들의 개성공단 철수를 진행했다.

남북협력을 상징하던 연락사무소가 붕괴하면서 개성공단 입주 기업들도 당혹스러워하고 있다.

개성공단 입주 기업 120여곳이 지난 2016년 2월 개성에서 철수할 당시 정부에 남겨두고 왔다고 신고한 자산만 9천억원에 달한다고 개성공단기업협회는 17일 밝혔다. 기계설비를 비롯한 고정자산과 완제품 등 유동자산만 고려한 금액으로, 투자 손실까지 더해지면 1조원이 넘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북한은 연락사무소 건물 폭파 하루만인 17일 개성공단에 군부대를 재주둔시키겠다고 발표하면서 개성공단 철거가 다음 차례가 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