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한·중 관계, 한국의 G7 초청 수락 후 도전 직면'이라는 제목의 논평 기사를 통해 "미국이 중국에 대응하기 위해 폭넓은 동맹을 구축하려는 데 한국과 인도, 호주가 이에 동참했다고 지적했다.
SCMP는 한국은 미국의 G7 제안을 수락함으로써 한·중 관계가 위태로워질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과거 한국은 중국의 의견을 배제한 채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를 배치해, 중국으로부터 경제 보복을 당하는 등 중국과의 관계가 틀어진 적이 있기 때문이다.
치화이가오(祁怀高) 상하이 푸단대 국제문제연구소 부소장은 SCMP와의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G7 초청을 수락한 한국, 인도, 호주 3개국 중 한국이 가장 난처한 입장에 서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문 대통령의 유화적 대북정책에 중국의 지지가 필수적"이라면서 "이는 한국 정부가 회담에 참여하더라도 미국의 중거리 미사일 배치 등 한반도 안보에 영향을 미치는 약속은 (문 대통령이) 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고 덧붙였다.
이지영 미국 싱크탱크 랜드 연구소 실장 역시 "트럼프 대통령이 이번 G7에 한국을 초청한 것은 한국이 미·중 갈등에서 미국 편을 드는 국가라는 것을 중국에 보여주려는 의도"라고 말했다.
대런 림 호주 국립대 국제관계학연구원 박사도 "중국이 경제 보복 카드를 꺼내 한국이 G7에 참여하지 못 하도록 할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이어 그는 "만약 한국이 참여한 G7 정상회의에서 화웨이 제재 등 중국의 이익에 반하는 결정이 내려진다면 그때는 한·중 관계가 어떻게 흘러갈지 아무도 장담할 수 없다"고 우려했다.
한국의 미국 G7 초청 수락한 것과 관련해 중국 외교부는 직접적인 언급을 하지 않았으나 미국이 다른 국가를 이용해 중국을 위협하려고 한다며 강한 불쾌감을 토로했다.
자오리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최근 "미국이 중국을 겨냥해 왕따를 시키는 것은 인심을 얻지 못할 것"이라면서 "이러한 행위는 관련국의 이익에도 부합하지 않는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