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지난 4일 저녁 홍콩의 빅토리아 공원에서 중국의 6·4 톈안먼(天安門) 민주화 시위 31주년을 맞아 열린 추모 집회에서 한 시민이 '양국(兩國)이 있어야만 양제(兩制)가 있다'는 깃발을 들고 있다. [사진=연합뉴스]](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06/08/20200608080730571900.jpg)
지난 4일 저녁 홍콩의 빅토리아 공원에서 중국의 6·4 톈안먼(天安門) 민주화 시위 31주년을 맞아 열린 추모 집회에서 한 시민이 '양국(兩國)이 있어야만 양제(兩制)가 있다'는 깃발을 들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7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노동자들과 학생 연합은 '200만 삼파(三罷) 노조연합전선'은 전날 기자회견을 열고 홍콩보안법 반대를 위한 총파업 실시 여부를 묻는 조합원 투표를 오는 14일 한다고 밝혔다. 삼파는 수업 거부를 뜻하는 파과(罷課), 노동 파업을 의미하는 파공(罷工), 상점을 모두 거두는 파시(罷市)를 말한다.
홍콩호텔노조의 알렉스 추이 회장은 "홍콩보안법은 지역경제를 황폐화시킬 것"이라며 "우리는 대규모 행동을 통해 국제사회에 우리의 반대 의사를 보여줘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이번 결정은 전날 홍콩 18개 의회 중 17개 구의회 소속 구의원들이 특별회의를 열고 홍콩보안법 반대 의사를 밝힌 이후 나왔다. 이들 구의회는 "홍콩보안법은 일국양제(一國兩制·한 국가 두 체제)를 파괴하고, 홍콩을 헤어나올 수 없는 심연으로 빠뜨릴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와 더불어 반정부 시위를 주도해온 민간인권진선이 송환법 반대 시위 1주년인 오는 9일부터 6개월간의 총력 투쟁을 공언했다. 홍콩서 다시 충돌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중국 정부가 홍콩보안법을 강하게 밀어붙이고 있어, 이를 반대하는 민주진영의 반발이 거셀 수밖에 없다는 전망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