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가축전염병 예방법' 시행규칙 개정안을 4일부터 7월 14일까지 입법예고한다.
아프리카돼지열병 중점방역관리지구 지정은 질병이 집중적으로 발생한 지역과 물·토양 등 환경에서 바이러스가 검출된 지역이 대상이다. 중앙가축방역심의회의 심의를 거쳐 지정한다.
현재 ASF 발생지역은 강화군, 김포시, 파주시, 연천군, 철원군, 화천군, 양구군, 고성군, 포천시 등 9개 시·군이다. 환경 오염지역은 파주시, 연천군, 철원군, 화천군, 양구군, 고성군, 포천시 등 7개 시·군이다.
중점방역관리지구 내 양돈농가에는 8개의 강화된 방역시설 기준이 적용된다.
해당 양돈농가는 축산차량의 방역을 위해 외부 울타리·내부 울타리·입출하대를 설치해야 하고, 사람이나 물품을 방역하는 방역실, 전실, 물품반입시설 등을 갖춰야 한다. 야생멧돼지나 조수류, 곤충 등 매개체로 인한 감염을 막는 방조·방충망, 축산폐기물 보관시설도 설치해야 한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개정이 이뤄지면 중점방역관리지구에 대한 강화된 방역시설 구비, 폐업 지원 등 차별화된 방역 조치가 가능해져 아프리카돼지열병이 사육돼지에서 발생하거나 확산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06/03/20200603160922903318.jpg)
아프리카돼지열병 방역[사진=아주경제D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