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두통이란 주로 머리 한쪽, 측두부가 지끈거리거나 쿵쿵 거리는 듯한 통증이 특징으로 머리가 전체적으로 뻐근하고 조이는 긴장형 두통과 차이가 있다. 증상이 심한 경우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수 있고, 학업이나 업무 능력이 저하되는 경우가 흔하다.
일부는 편두통이 나타나기 전 피로감과 집중력 저하가 나타나고, 목이 뻣뻣해지거나 빛‧소리에 민감해지는 등의 전조 증상을 경험한다. 또 통증이 사라진 후에 이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고, 편두통 환자의 20%는 신경장애를 경험하기도 한다.
김민정 건국대병원 마취통증의학과 교수는 “눈앞에서 번쩍임이 나타나는 등의 시각적 이상이 나타나기도 하는데 두통이 사라지면 완전히 사라지는 것이 특징”이라며 “드물게 감각 장애나 운동 장애, 언어 장애를 통해 나타나기도 한다”고 말했다.
김민정 교수는 “특히 편두통은 여성 호르몬양의 변화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월경주기, 피임약으로도 편두통이 발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치료는 편두통을 유발하는 인자를 찾는 것에서부터 시작된다.
김 교수는 “편두통의 기미가 보이면 치료는 가능한 빨리 하는 것이 좋다”며 “치료 없이 만성화 되면 치료를 해도 효과가 떨어져 호전이 쉽지 않다”고 설명했다.
이어 “많은 사람들이 편두통에 일반 진통제를 복용하는데 자주 먹으면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불응성편두통이 되기 쉽다”며 “편두통이 자주 재발한다면 평소에 예방치료에 힘쓰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예방치료는 약물로 한다. 약물은 편두통을 유발하는 뇌혈관의 흥분을 낮추고 염증을 유발하는 물질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제타 차단제와 항경련제, 항우울제 등을 이용하는데, 처음에는 저용량으로 매일 복용하고 천천히 양을 늘리면서 3~6개월 간 복용한다.
또 편두통을 일으킬 수 있는 인자를 피하고 규칙적인 운동과 식사, 적절한 수면 등 규칙적인 생활을 하는 것이 편두통의 재발을 막고 통증의 강도와 지속 시간을 줄이는데 도움을 준다.
편두통의 급성기 치료에는 빨리 통증을 줄이는데 초점을 맞춘다. 초기에 효과적으로 치료하지 못하면 같은 약물에 대한 효과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김 교수는 “약물로도 증상이 나아지지 않을 때는 말초신경차단술을 고려할 수 있다”며 “대후두 신경, 안와상 신경, 귓바퀴 측두 신경 차단술 등 두통이 발생하는 부위에 따라 치료 부위가 달라진다”고 말했다.
이어 “만성편두통의 경우에는 보톡스를 이용해 치료하기도 하는데, 보톡스를 근육 내 주사해 신경전달 물질 분비를 억제시켜 두통을 완화하고 예방하는 효과를 낼 수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