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05/28/20200528073937686960.jpg)
[게티이미지뱅크]
‘그린뉴딜’이라는 어젠다가 코로나19 속 성장갈증에 빠진 경제계의 시선을 집중시켰다. 친환경(그린)이라는 전제에도 불구하고 모처럼 나온 ‘성장(뉴딜) 정책’에 기대감을 품은 모양새다. 특히 중소기업계는 단순 지원을 넘어 국내 상황에 맞는 합리적인 환경규제 안에서 미래 먹거리를 담당할 기술력을 확보할 시간을 벌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그린뉴딜 정책설계엔 환경부, 국토교통부, 산업통상자원부, 중소벤처기업부가 달라붙었다. 이르면 다음달 초·중순 경 각 부처의 구체적인 실행방안이 발표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함께 중기부는 그린뉴딜의 탄탄한 지반을 담당할 스타트업·벤처기업 육성이라는 숙제를 맡게 될 것으로 보인다. 중기부 관계자는 “그린기술과 관련된 R&D 지원도 포함될 것”이라고 전했다. 수입에 의존하는 주요 그린 기술·소재 국산화 지원사업 가능성도 있다. 그린 기술·소재 국산화 사업은 이명박 정부의 ‘녹색 중소기업 지원방안’에도 포함된 바 있으나, 지난해부터 이어진 ‘기술 국산화’ 기조를 볼 때 해당 사업을 배제하긴 힘들기 때문이다. 수소그린모빌리티, 차세대배터리, e-모빌리티, 에너지신산업 등 그린기술이 대거 포함된 중기부의 규제자유특구 지정사업은 그린뉴딜과 별개로 진행된다. 다음달 말 국무총리 주재 특구위원회에서 3차 특구가 지정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