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최초 교장선생님의 평교사 복귀

2020-05-27 11:23
  • 글자크기 설정

김지국 前서흥초교장선생님이 내부형 공모제 교장 임기를 마치고 평교사로…전교조 조합원으로도 복귀


“평교사로 다시 돌아온 저를 위해 이런 자리를 만들어주신 것에 대해 진심으로 영광스럽게 생각합니다. 아마 인천에서 처음 있는 일이라는 사실 때문에 이런 자리가 마련되었을 것입니다. 그러나 사실 이 일은 누구에게 축하받거나 기념할 만한 일이 아닌 자연스러운 것입니다. 교장의 보직을 마쳤으니 당연히 원래 자리였던 평교사로 돌아가서 아이들과 함께 가르치고 배우고 생활하여야 하는 것이지요.”

‘다시 아이들 곁으로, 다시 조합의 품으로’라는 주제로 김지국 前서흥초등학교 교장선생님의 조합원 복귀식이 25일 전교조 인천지부 대회의실에서 진행되었다.
인천지역 교사, 학부모, 시민사회교육단체 등의 참여 속에 진행된 행사는 코로나19 감염병 확산에 따라 참석자들의 마스크 착용 필수, 발열체크 및 손세정 등을 철저히 지키며 진행되었다.

김지국 前서흥초등학교 교장선생님의 조합원 복귀식[사진=전교조인천지부]


김지국 선생님의 조합원 가입식 및 가입증서 수여, 감사패 수여, 4년 간 교장 재임 소회 발표 및 참석자들과의 질의 응답으로 진행된 행사에서 김지국 선생님은 “평교사 복귀식이라는 행사 자체가 어색한 교직 문화를 만들어야 한다.”라고 말하며 “전교조가 주장해온 교장선출보직제의 길로 가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전교조는 그동안 우리 교육의 가장 큰 두 가지 문제로 입시 위주 교육으로 인한 교육의 창의성 부재, 교장자격증을 바탕으로 모든 수치를 점수화하여 교사들을 줄 세우려 하는 승진제도의 문제점을 지적해 왔다.

교장 승진제도의 문제는 교육 활동 본연의 문제와 상관없는 실적 및 점수 등으로 취득되는 교장 자격증에 대한 문제, 교장이 학교 의사결정 모든 것을 장악하여 학교를 비민주적으로 운영하는 실태에 대한 문제도 포함된다.

전교조는 이에 대한 대안으로 교장 자격증을 바탕으로 하는 승진제도를 철폐하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 교장을 보직으로 바라보고 내부구성원들이 교장을 선출하는 교장선출보직제를 주장하여 왔다.

교장선출보직제는 현재 대학에서 시행하고 있는 총장선출제와 비슷한 개념으로 교장은 하나의 보직으로 주어지며 주어진 임기 동안 교장 직을 수행한 후 임기를 마친 후에는 다시 아이들을 교육하는 선생님으로 돌아오는 제도를 의미한다.

이와관련 전교조 인천지부 관계자는 “김지국 선생님의 평교사 복귀를 시작으로 평교사 내부형 교장 공모제 제도가 더욱 발전되어 교장선출보직제로 가는 디딤돌이 되기를 희망합니다. 전교조는 교장선출보직제 실현을 위해 노력해 갈 것”이라며 “이것이 학교 민주주의의 초석이 되리라 확신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