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린추킨연구소의 미나미 다케시 이코노미스트는 블룸버그에 "이번 분기에 수치가 더 악화할 것이라는 데에는 의심할 여지가 없다"면서 "기업들이 자금 확보에 고전하면서 투자는 계속 부진할 것으로 보인다. 근로자들은 소득 감소를 우려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일본의 올해 1분기(1~3월) 국내총생산(GDP)은 전분기 대비 0.9% 감소했다. 연율로 환산하면 -3.4%다. 연율은 전분기 대비 성장률이 4개 분기 지속된다고 가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본은 지난해 4분기(10~12월)에도 소비세 인상과 기상이변 여파로 전분기 대비 1.6%(연율 7.3%) 위축하면서 2014년 이후 최악의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한 바 있다. 이로써 일본은 경기 침체를 공식화하게 됐다. 통상 GDP가 2개 분기 연속 감소하면 기술적 침체에 빠진 것으로 간주한다.
1분기 성장률은 전문가들이 예상한 -4.5%보다는 양호했다. 그러나 2분기에는 사정이 더 악화할 게 확실시된다. 휴업과 이동제한이 본격화한 비상사태가 2분기에 시작됐기 때문이다. 일본 대다수 지역에서 비상사태가 조기 해제됐지만, 비상사태가 끝나더라도 소비자들이 안전을 확신할 때까지는 코로나19 이전 상황으로 돌아가기 어려우리라는 게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이코노미스트들은 일본의 2분기 성장률이 연율 -21.5%까지 곤두박질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대로라면 1955년 이후 최악의 수치이자 3개 분기 연속 역성장을 기록하게 된다. 일본은 금융위기가 한창이던 2009년 1분기에 -17.8% 성장률을 기록한 바 있다.
리먼 쇼크 때보다 심각한 침체 위기 속에 아베 신조 내각이 받는 추가 부양 압박도 높아지게 됐다. 일본 정부는 이미 코로나19 경제대책으로 117조엔 규모의 부양책을 쏟아냈다. GDP의 20%가 넘는 규모다. 그러나 경제 사정이 악화하고 있는 데다 정부의 코로나19 대응을 바라보는 여론도 싸늘해 아베 내각은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니시무라 야스토시 일본 경제재생상은 18일 기업과 가계에 신속하게 지원을 늘릴 수 있도록 2차 추가경정예산(보정예산)이 신속히 통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일본은행도 나름대로 코로나19 대응에 나서고 있다. 지난달에는 채권매입 상한을 철회하는 추가 부양책을 내놓았다. 블룸버그는 일본은행이 조만간 긴급회의를 열어 소기업에 대한 대출 프로그램을 도입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