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3년만에 누명 벗은 고려 장군 변안열

2020-05-19 16:11
  • 글자크기 설정

 <38>충철의 불굴가 변안열 장군 묘역 · 황호택(서울시립대) 이광표(서원대)교수 공동집필


고려의 국운이 기울던 1389년(공양왕 원년) 10월, 이성계는 생일을 자축하는 연회를 마련했다. 이 자리엔 이방원이 배석했고, 정몽주와 변안열(邊安烈·1334~1390)을 초대했다. 아버지 이성계와 함께 역성(易姓)혁명을 꿈꾸던 이방원은 ‘하여가(何如歌)’로 두 사람의 마음을 떠보았다. “이런들 어떠하리 저런들 어떠하리/ 만수산 드렁칡이 얽혀진들 어떠하리/ 우리도 이같이 얽혀 백년까지 누리리라.” 그러자 정몽주가 ‘단심가(丹心歌)’로 응수했다. “이 몸이 죽고 죽어 일백 번 고쳐 죽어/ 백골이 진토(塵土)되어 넋이라도 있고 없고/ 님 향한 일편단심이야 가실 줄이 있으랴.” 이어 변안열이 ‘불굴가(不屈歌)’로 강도를 높였다. “내 가슴 구멍 뚫고 새끼줄로 길게 꿰어/ 앞뒤로 끌고 당겨 갈리고 찢길망정 너희들 하는대로 내 사양치 않으리라/ 내 임금 빼앗는데 나는 굽힐 수 없다.”
대은(大隱) 변안열. 그는 중국 원나라 선양(瀋陽) 출신이다. 1351년 원의 무과에 장원급제한 뒤 선양에 가있던 공민왕과 노국공주를 시종(侍從)하여 고려로 들어왔다. 고려에 온 후 원주 원씨와 혼인하고 원주를 관향(貫鄕)으로 받아 원주 변씨(邊氏)의 시조가 되었다.

 변안열 초상 [사진=전쟁기념관]


변안열은 용맹한 무장으로 이름을 날렸다. 1362년 홍건적이 개경까지 쳐들어오자 안우와 함께 홍건적을 격퇴하고 개경을 수복해 1등 공훈을 세웠다. 1374년엔 최영과 함께 탐라(제주)의 왜구를 정벌하고 1376년엔 부령에서 왜구를 크게 격파하는 등 수차례 공을 세웠다. 1380년엔 이성계와 함께 출정하여 황산에서 왜구를 물리치는 대첩을 거두었다. 계속되는 승전에 힘입어 변안열은 원천부원군(原川府院君)에 봉해지고 지위가 판삼사사(判三司事), 영삼사사(領三司社)에 이르렀다.
고려말 개경 수복·황산대첩 1등공신

변안열은 1388년 이성계와 요동정벌에 나섰다가 위화도에서 회군했다. 회군 이후, 이성계의 군사적 정치적 힘이 급성장하자 변안열은 이를 견제하기 시작했다. 고려를 지켜야겠다는 생각에서였다. 당시 변안열의 사병(私兵)이 2만명에 달했다고 한다. 변안열의 2만 사병은 이성계를 견제할 수 있는 현실적인 수단이었고 이성계로서는 제거해야 할 대상이었다.

남양주 진건읍에 위치한 변안열 부부묘와 묘역 전경[사진=이광표]


1389년 드디어 일이 터졌다. 이성계 생일 연회에서 이방원은 변안열의 속내를 짚어보려고 했다. 그런데 변안열은 불굴가를 통해 역성혁명 반대의 뜻을 명확하게 드러냈다. 변안열은 곧바로 우왕의 복위를 모의한 김저의 옥사에 연루되어 관직을 삭탈 당했고 한양에 유배된 뒤 이듬해인 1390년 처형되었다.

이성계 생일 때 역모 반대했다 처형

변안열은 고려말 이성계와 쌍벽을 이뤘던 명장이다. 그러나 이성계의 역성혁명에 반대하다 끝내 화를 당해 순절했다. 그것은 절개를 지킨 죽음이었다. 그리고 2년 뒤. 포은 정몽주, 목은 이색, 야은 길재 등 고려 3은(三隱)이 모두 변안열을 기렸다. 정몽주의 제문(祭文) 가운데 이런 문구가 있다. “늠름하기가 추상(秋霜) 같음은 공의 충렬(忠烈)이요, 열렬하기가 백일(白日) 같음은 공의 의절(義絶)이었습니다. 이 밤을 소리 내어 크게 울건대 어느 날이든 감히 잊겠습니까.” 이색은 제문에서 이렇게 읊었다. “강산과 더불어 사라지지 않고 없어지지 않는 것은 공의 충렬이 아니면 무엇이 있겠습니까.” 그리고 길재의 마음 또한 마찬가지였다. “모든 관료들이 산처럼 우러러 보았으나 하루 아침에 와열(瓦裂)되었으니, 슬프고 애통함을 따를 데가 없습니다.”
하지만 변안열은 ‘고려사’에 간신으로 기록되었다. 절개를 지키다 살해당했던 정몽주가 충신으로 추앙받은 것과는 상황이 너무 다르다. ‘고려사’는 조선 초에 편찬되었다. 승자의 시각으로 구성하다보니 이성계와 맞섰던 변안열을 의도적으로 왜곡한 것이다. 이로 인해 변안열의 충정은 역사의 저편으로 잊혀져갔고 간신의 오명을 뒤집어써야 했다.

16세기에 제작한 변안열 묘표비. 앞면에는 달에서 방아를 찧은 토끼, 뒷면에는 세발 달린 까마귀(삼족오)를 새겨놓았다. [사진=이광표]


변안열은 남양주 진건읍에 묻혀 있다. 순절 후 경기도 양주 주엽산에 묻혔으나 광릉과 가깝다고 해서 1468년 현재의 위치로 이장되었다. 바로 변안열 묘역(경기도 문화재자료 116호)이다. 변안열 묘는 부인 묘와 쌍분으로 되어 있고, 주변 곳곳에 후손들의 무덤도 함께 조성되어 있다.
묘역은 널찍하고 탁 트여있다. 대은 시조 묘표비, 신도비, 공적비 등 다양한 기념물을 만날 수 있다. 여기서 특히 인상적인 것은 ‘불굴가’의 내용과 의미를 설명한 석비와 ‘불굴가’를 발굴하고 선양한 황일영을 추모하는 ‘패강 황일영 선생 학술비’다.

기개·비장미 넘치는 시조 '불굴가'

불굴가를 읽어보면 불굴가에는 충절과 기개, 비장함이 넘친다. 그런데 이 불굴가가 세상에 알려진 것은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고전문학자 황일영(황패강)이 1968년 원주 변씨 집안에 전해오는 세보(世譜) 속에서 변안열의 행적과 한문으로 기록된 불굴가를 발견함으로써 세상에 모습을 드러냈다. 원문은 “穴吾之胸洞如斗 貫以藁索長又長 前牽後引磨且戛 任汝之爲吾不辭 有慾奪吾主 此事吾不屈(혈오지흉통여두 관이고삭장우장 전견후인마차알 임여지위오불사 유욕탈오주 차사오불굴)”으로 되어 있다. 황일영은 시가집 ‘청구영언(靑丘永言)’에도 우리말로 풀어 쓴 불굴가가 수록되어 있음을 추가로 확인했다.
불굴가의 작자를 두고 이론을 제기하는 이도 있다. 하지만 당시의 길재, 이방번 등의 제문에 ‘불굴지가(不屈之歌)’ ‘불굴유가(不屈遺歌)’ 등의 표현으로 불굴가를 직접 거론했다는 점으로 미루어 변안열의 작품이라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다만 1389년 이성계 연회에 변안열이 참석했는지를 두고 의문을 표하는 경우는 있다. 그럼에도 불굴가의 존재 의미와 변안열의 충절에는 변함이 없다.

후손 노력 끝에 호국인물 선정

불굴가의 발견은 변안열에 대한 기존의 왜곡된 시각을 교정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누군가는 불굴가를 두고 “500년 동안 역사의 음지에 가려 있던 절절한 노래”라고 평한다. 변안열의 불굴가는 정몽주의 단심가와 함께 고려 말 충정을 상징하는 절창의 하나다. 황일영은 “단심가와 불굴가는 문무 충절가의 쌍벽”으로 규정하고 “단심가에는 문반(文班)의 곡직하고도 매운 뜻이 깃들어 있고 불굴가에는 무반(武班)의 씩씩하고 흔들림 없는 송죽 같은 절개가 깃들어 있다”고 평한다. 단심가가 간절하고 지극하다면 불굴가는 더 강단이 있고 극적이라는 말이다. 불굴가에는 비장미와 숭고미가 잘 담겨 있어 읽는 이에게 진한 감동을 준다. 그런데도 단심가가 널리 인구에 회자되어온 것과 달리 불굴가는 아직도 대중에게 낯선 편이다. 세상에 알려진 역사가 짧기 때문이다.

변안열 묘역에는 후손들이 불굴가를 새긴 석비를 세워놓았다. [사진=이광표]


그동안 후손들이 남양주의 변안열 묘역을 가꾸고 그의 정신을 기렸는데 대중에게 알려지지 시작한 것은 역시 불굴가 덕분이다. 이에 힘입어 다양한 연구와 숭앙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2000년엔 국립민속박물관에서 ‘오백년의 침묵 그리고 환생:원주 변씨 출토유물 기증전’이 열렸다. 변안열과 관련된 유물이 아니라 후손들의 유물이었지만 이를 통해 원주 변씨 시조인 변안열의 존재를 상기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2013년 4월 국방부 전쟁기념사업회는 변안열을 호국인물로 선정했다. 이것은 억울하게 간신의 누명을 썼던 변안열에 대한 일종의 신원(伸冤)이었다. 무려 623년 만의 일이다. 이어 이듬해 5월엔 ‘이달의 호국인물’ 로 선정되었고 서울 전쟁기념관에서 변안열을 추모하는 현양 행사가 거행되었다.
시조문학계에서는 불굴가를 우리나라 사설시조의 효시로 평가한다. 그래서 한국시조협회는 2014년부터 대은시조문학상을 제정해 운영하고 있으며 동시에 매년 변안열 묘역에서 대은문학제를 개최하고 있다.
원나라에서 고려로 건너와 원주 변씨를 창시하고, 홍건적과 왜구 등을 물리치는 데 일생을 바친 호국 무인 변안열. 그는 진정한 고려 충절이 아닐 수 없다. 그래서 포은 정몽주, 목은 이색, 야은 길재에 대은 변안열을 더해 “고려 4은(四隱)”이라고 부르는 이도 있다. <杓>
--------------------------------------------
자료지원-남양주시(시장 조광한)
협찬-MDM그룹(회장 문주현)
도움말-남양주시립박물관 김형섭 학예사


<참고문헌>
대은 변안열과 불굴가, 황패강, 단국대출판부
변안열 평전, 이성무, 글항아리
불굴가 보론, 조규익, 동방학 2집
오백년의 침묵 그리고 환생:원주 변씨 출토유물 기증전, 국립민속박물관
---------------------------------------------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