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19일 발표한 ‘일본 헬스케어 산업의 해외진출 및 이노베이션과 시사점’에 따르면 글로벌 보건의료 서비스 환경이 ‘공급자·치료’중심에서 ‘수요자·예방관리’로 전환되고 있다.
이에 일본 정부도 헬스케어 산업의 해외진출 전략을 수정하고 관련 기업들도 디지털·모빌리티 업계 등 타 업종과 연계하며 혁신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일본 정부는 해외진출 방식부터 병원건설·운영·의료서비스·의료기기 등을 패키지로 묶어 나가던 방식에서 의료시설·인력·파트너사 등까지 현지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는 방향으로 전환했다.
일본 기업들도 헬스케어의 편의성, 정확성, 접근성 강화에 나섰다. 최근 의료장비를 갖춘 차량에 간호사가 탑승해 환자를 방문하고 의사의 원격진료 후 간호사가 장비를 이용해 검사·처방하는 헬스케어 모빌리티 서비스가 추진 중이다.
또한 인공지능(AI)·사물인터넷(IoT) 등 기술을 활용한 환자의 약 복용 모니터링, 치료용 게임 등 소프트웨어 개발, 화상 진단 정확성 제고 등도 가능해졌다.
보고서는 “한국과 일본은 공적 건강보험 제도를 시행하고 의료 안전성에 대한 규제가 보수적인 면에서 의료 서비스 환경이 비슷하다”면서 일본의 사례를 바탕으로 한국 헬스케어 산업의 해외진출 확대를 위한 4대 과제, 15개 실행방안을 제시했다.
이혜연 무협 수석연구원은 “지난해 우리 정부도 바이오헬스 산업을 차세대 주력산업 선정하는 등 헬스케어 산업의 중요성을 인식했다”면서 “코로나19 이후 한국 의료시스템에 대한 국제적 인지도와 신뢰도가 상승한 지금을 기회로 삼아 글로벌 헬스케어 산업의 변화에 맞는 발전 전략으로 해외진출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