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05/15/20200515161503634400.jpg)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질병관리본부장)이 8일 오후 충북 청주시 질병관리본부에서 코로나19 국내 발생 현황 및 확진 환자 중간조사 결과 등 정례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이태원 클럽 방문자로 시작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이 3차 감염자까지 발생하며 지역사회로 급속히 퍼지고 있다. 방역당국에 따르면 현재까지 최소 4명이 3차 감염으로 확인됐으며 추가로 더 늘어날 전망이다. 아직 4차 감염자는 보고되지 않았지만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다.
정은경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장은 15일 오후 충북 오송 질본에서 진행된 브리핑에서 “4차 전파까지는 아직 발생하거나 우려되는 사례는 아직 없다”고 말했다.
정 본부장은 “3차 감염으로 확인된 사례는 인천 학원 관련 사례가 4명 정도”라며 “나머지 사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역학조사가 진행 중이어서 3차 감염인지, 아닌지 더 면밀하게 조사해 분류되면 말씀 드리겠다”고 밝혔다.
이날 정오 기준 이태원 클럽 관련 확진자는 모두 153명으로 클럽 방문자가 90명, 가족과 지인 등 접촉자 확진이 63명이다. 이 가운데 3차 감염은 현재까지 인천에서 4명이 확인됐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에서 대거 확진자가 발생했다. 서울 87명과 경기 26명, 인천 22명 등 153명 중 135명의 확진자가 수도권에서 발생했다. 이어 국방부 격리시설에서 9명이 발생한 충북과 부산 4명, 충남·전북·경남·강원·제주에서 각각 1명씩 확진자가 보고됐다.
이미 시작된 3차 감염은 물론 4차 감염을 막기 위해서는 신속한 접촉자 파악이 필요하다.
정 본부장은 “3차, 4차 감염을 막기 위해서는 신속하게 진단검사를 해 조기에 사례를 확인하고, 접촉자에 대한 자가격리가 이뤄져야 한다”며 "접촉자를 파악해 자가격리 등의 조치를 취한 뒤는 통제하에 들어오기 때문에 4차 전파를 막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지금까지 이태원 클럽과 관련해 코로나19 진단검사는 모두 4만6000명이 받은 것으로 집계됐다. 방역당국은 최초에 유행이 발생한 5개 클럽 방문자를 5500명 정도로 추산하고 있다. 이 가운데 4300여 명이 검사를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