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중국 내 열대거세미나방 발생이 확대되고 있고 지난해보다 발생 속도가 빨라, 국내 조기 유입 가능성에 대비해 대응을 강화하고 있다.
열대거세미나방은 전 세계 113개국에 분포하며, 중국에서는 5월까지 사천성, 운남성 등 총 10개 성에서 발생했다.
열대거세미나방은 애벌레 시기에 작물의 잎과 줄기를 갉아먹는다. 주로 옥수수 등 화본과 작물에 피해를 준다. 우리나라는 지난해 6월 제주에서 처음 발견된 이후 전국 31개 시·군의 옥수수, 수수, 수단그라스 등 재배지 총 50.6ha에서 피해가 발생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05/07/20200507103420730555.jpg)
열대거세미나방[사진=농림축산식품부]
![](file:///C:\Users\user\AppData\Local\Temp\DRW00002ed0bb46.gif)
트랩(덫)과 공중포충망 등을 지난해보다 한 달 빠른 4월부터 설치했고, 설치 지역도 지난해 260곳에서 올해 390곳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또 수입 농산물을 통한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지난해 4월 19일부터 열대거세미나방이 발견된 지역에서 수입되는 식물에 대한 현장 검역을 두 배로 늘렸다.
약 15만 농가에는 열대거세미나방 현장 방제 요령을 안내한다.
![](file:///C:\Users\user\AppData\Local\Temp\DRW00002ed0bb48.gif)
지난해 열대거세미나방 조기 발견과 적기 방제를 한 지역의 피해는 1% 내외로 그쳤지만 방제 시기를 놓친 일부 지역에서는 피해율이 10~50%에 달했다는 게 농식품부 설명이다.
![](file:///C:\Users\user\AppData\Local\Temp\DRW00002ed0bb4c.gif)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05/07/20200507103502233356.jpg)
열대거세미나방 피해 증상[사진=농림축산식품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