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연구원은 7일 코로나19 사태 이후 세계경제 침체 우려와 디지털 경제 전환이 가속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중소기업은 생존을 위해 새로운 수요를 파악하고, 선제적인 체질 개선에 나서야 한다고 조언했다.
기업이 디지털 경제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규제 등의 리스크는 정부가 분담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연구원은 “코로나19가 장기화하면서 글로벌 경기가 급랭하고, 한국 역시 외환위기 이후 가장 낮은 성장률을 기록할 것”이라며 “중소기업계는 코로나19의 직·간접적 피해와 재무건전성 악화로 충격이 확대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특히, 코로나19의 경제충격은 재무건전성이 약한 중소기업에게 더 큰 충격으로 다가올 것으로 보여 △재무 악화 △경영 관리 △인력관리 △위기대응역량 등 분야별 대응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연구원은 중소기업이 코로나19 위기를 기회로 만들어 도약하기 위해서는 환경변화의 불확실성에 대응하고, 혁신대응 주도권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온라인교육·재택근무 등 업무환경 변화에 주목하고, 디지털환경의 가치사슬 단계에서 기업 가치가 어디에 최적화될 수 있는지 파악해야 한다고 했다.
또 혁신대응 주도권 확보를 위해 기존산업혁신 및 신기술·신사업 성장 발판을 마련하고, 새로운 니즈에 따라 신속하게 혁신하고 언택트 기술 활용으로 스마트 서비스 환경에 적응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연구원은 “중소기업이 디지털 경제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리스크에 구애받지 않고 도전할 수 있는 환경이 중요하다”며 “디지털 생태계가 조성될 수 있도록 기업의 도전에 대한 리스크를 정부가 분담하고, 디지털 협업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R&D 확대 및 지원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