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협과 신협, 수협 등 상호금융조합의 지난해 당기순이익이 전년 대비 15.2% 급감했다. 판매·관리 비용 등 영업비용이 증가한데다, 경제사업 손실이 확대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31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19년 상호금융조합 영업실적(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상호금융조합의 당기순이익은 2조1702억원으로 전년 동기(2조5598억원) 대비 15.2%(3896억원) 감소했다.
조합별로 보면 농협이 1조6909억원으로 전년 대비 14.3%(2828억원) 감소했다. 신협과 수협은 각각 12.8%, 47.5% 감소한 3701억원, 693억원을 기록했다. 산립조합은 34.8% 증가한 399억원이었다.
상호금융조합의 당기순익 감소는 판매·관리비 증가와 경제사업부문 손실 확대 때문이다. 이 기간 판매·관리비는 전년보다 1712억원 증가하며 신용사업부문(금융) 순이익이 소폭 감소한 4조2121억원을 보였다. 경제사업부문은 농소산물 가격 하락과 판매 부진으로 전년 대비 손실액이 3273억원 확대됐다.
이 기간 상호금융조합의 총 자산은 546조1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9%(40조2000억원) 증가했다. 조합당 평균자산은 2451억원으로, 전년 말(2261억원) 대비 190억원(8.4%) 늘었다.
총 여신과 수신 금액은 각각 5.1%, 8.4% 확대된 17조8000억원, 36조원을 보였다.
연체율과 고정이하여신비율은 소폭 상승했다. 지난해 말 기준 상호금융조합의 연체율은 1.71%로 전년 말 대비 0.39%포인트 상승했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0.18%포인트 상승한 1.42%, 개인사업자대출 연체율은 0.78%포인트 상승한 2.12%를 기록했다. 고정이하여신비율은 0.52%포인트 상승한 2.04%였다.
금융감독원은 "영업비용 증가와 경제사업 부진 등으로 당기순이익이 감소하고 연체율이 소폭 상승했다"면서도 "순자본비율, 대손충당금 적립률 등을 고려할 때 손실흡수능력은 양호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어 "코로나19 등으로 소상공인 등 취약차주 중심으로 잠재위험이 현재화될 가능성이 있는 만큼, 전성 현황을 보다 세밀하게 모니터링하고 손실흡수능력 제고와 부실자산 정리를 적극 지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31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19년 상호금융조합 영업실적(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상호금융조합의 당기순이익은 2조1702억원으로 전년 동기(2조5598억원) 대비 15.2%(3896억원) 감소했다.
조합별로 보면 농협이 1조6909억원으로 전년 대비 14.3%(2828억원) 감소했다. 신협과 수협은 각각 12.8%, 47.5% 감소한 3701억원, 693억원을 기록했다. 산립조합은 34.8% 증가한 399억원이었다.
상호금융조합의 당기순익 감소는 판매·관리비 증가와 경제사업부문 손실 확대 때문이다. 이 기간 판매·관리비는 전년보다 1712억원 증가하며 신용사업부문(금융) 순이익이 소폭 감소한 4조2121억원을 보였다. 경제사업부문은 농소산물 가격 하락과 판매 부진으로 전년 대비 손실액이 3273억원 확대됐다.
이 기간 상호금융조합의 총 자산은 546조1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9%(40조2000억원) 증가했다. 조합당 평균자산은 2451억원으로, 전년 말(2261억원) 대비 190억원(8.4%) 늘었다.
총 여신과 수신 금액은 각각 5.1%, 8.4% 확대된 17조8000억원, 36조원을 보였다.
연체율과 고정이하여신비율은 소폭 상승했다. 지난해 말 기준 상호금융조합의 연체율은 1.71%로 전년 말 대비 0.39%포인트 상승했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0.18%포인트 상승한 1.42%, 개인사업자대출 연체율은 0.78%포인트 상승한 2.12%를 기록했다. 고정이하여신비율은 0.52%포인트 상승한 2.04%였다.
금융감독원은 "영업비용 증가와 경제사업 부진 등으로 당기순이익이 감소하고 연체율이 소폭 상승했다"면서도 "순자본비율, 대손충당금 적립률 등을 고려할 때 손실흡수능력은 양호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어 "코로나19 등으로 소상공인 등 취약차주 중심으로 잠재위험이 현재화될 가능성이 있는 만큼, 전성 현황을 보다 세밀하게 모니터링하고 손실흡수능력 제고와 부실자산 정리를 적극 지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03/31/20200331120942661900.jpg)
[자료=금융감독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