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이하 방대본)는 21일 오후 2시 10분 정부오송청사에서 코로나19 정례 브리핑을 개최하고, 이 같이 밝혔다.
이상원 방대본 진단검사관리총괄팀장은 “영남대병원이 고인(17세 청소년)에게 채취한 객담 등 검체에서 미약한 PCR반응을 확인해 미결정 판단을 내렸고, 이후 질본과 진단검사관리위원회가 검사 후 최종 음성 판정을 내렸다”며 “미결정 반응의 원인은 일시적 일부 오염에 의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말했다.
이어 “다만, 이것이 전체 검사 결과에 영향을 주는 수준이 아니며, 영남대병원의 검사 신뢰도는 여전히 높다”며 “질본과 진단검사의학회가 공동으로 실시한 조사 결과, 이번 사망자 미결정 사례를 제외하고 그동안 진행된 검사에서는 특별한 문제점이나 유의점이 발견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또 구체적인 경위 확인을 위해 질본이 환경검체와 진단키트를 수거해 검사한 결과, 검사실의 구조적인 문제가 아니며, 제거 가능한 일시적 일부 오염 문제로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이상원 팀장은 “영남대병원은 검사실 안전을 유지하고 오염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검사가 진행된 장소‧장비에 대해 재점검을 했다”며 “질본과 진단검사관리위원회가 현장실사와 환경평가를 통해 오염제거 여부를 확인했고 그 결과, 검사 재개가 가능하다고 판단해 이를 영남대병원에 통보했다”고 전했다.
특히, 해당 내용은 질본과 영남대병원 견해가 일치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권준욱 방대본 부본부장도 “중점적으로 봤던 부분은 다른 검사에서도 어떤 문제가 있는 것 아니냐 했던 부분인데, 어제 조사를 시행을 한 결과 다른 문제는 전혀 발견되지 않았고 실험실 내에 다른 오염 가능성 등도 없는 것으로 규명이 됐다”고 말했다.
이어 “그 한 건의 검사과정에서 실험과정의 불가피한 어떤 오류나 잘못, 이런 것들은 충분히 발생할 수가 있었다"며 "다만, 이런 것들이 체계적으로 발생하거나 아예 구조화됐거나 그렇다면 문제가 될 수 있으나 평소에도 계속 검사기관에 대한 모니터링은 수시로 실시되고 있기 때문에 검사의 질을 높게 유지하는데에는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고 전했다.
앞서 영남대병원은 사망한 17세 청소년에게 총 13차례 PCR검사를 실시하고 코로나19 음성 판정을 12번 내렸고, 한 차례는 양성 판정을 내렸다. 당시 양성으로 판단했으나 미약한 반응에 따라 최종 미결정으로 판단됐고, 질본과 서울대병원 연세대 세브란스병원이 교차 검사를 진행하고 최종 음성 판정을 내렸다.
질본은 검체를 의뢰한 영남대병원으로부터 검사 원자료를 제공받아 재판독한 결과, 환자 검체가 전혀 들어가있지 않은 대조군 검체에서도 PCR 반응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때문에 검체가 들어가지 않은 대조군에서도 PCR 반응이 관찰되는 등 검사오류가 의심됐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03/21/20200321145915226195.jpg)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