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03/20/20200320084640106214.jpg)
[사진=AP·연합뉴스]
해외에서 유입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대 우려가 커지면서 입국자에 대한 검역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정부가 19일부터 특별입국절차를 전면 시행하고 있지만 현재까지 무증상 코로나19 확진자는 걸러낼 방법이 없는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입국자 전원을 바이러스 잠복기인 2주간 격리하는 등 특단의 대책으로 관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지난달까지 해외 유입으로 추정되는 사례는 매주 10명 이하였지만 이달 첫째 주엔 4명, 둘째 주 17명, 셋째 주 31명으로 늘어 현재 총 79명이다. 이 중 16명은 검역 과정에서 감염이 발견됐다.
한국은 아직 특별입국절차만 운영되고 있다. 입국을 완전히 차단할 수 없고 정상적인 국제 교류까지 막는 건 과하다는 판단에서다.
그러나 입국자 중 코로나19 확진자를 걸러내지 못할 경우, 다시 국내 대규모 감염을 유발할 수 있는 만큼 특별입국절차 외에 추가 조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전문가들은 전 입국자를 상대로 코로나19 잠복기인 14일간 자가격리 조치를 시행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호흡기 교수들은 "해외에서 머물다가 국내로 들어온 사람들을 14일간 자가격리하게 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며 "보건당국이 하루 두 번씩 입국자에게 전화해 건강 상태를 묻는 '능동감시'를 확대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보건당국도 이러한 방안을 적극 고려 중이다. 앞서 윤태호 중수본 방역총괄반장은 "입국자 대상 2주간 자가격리 의무화를 비롯한 여러 방안을 논의 중"이라며 "행정적인 지원이 필요한 만큼 다각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