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은 수소저장 액체 기술(이하 LOHC)을 활용해 시간당 20N㎥의 수소를 저장하는 실증에 성공했다고 9일 밝혔다. LOHC(Liquid Organic Hydrogen Carries) 기술은 2017년부터 시작된 최신 기술로 지금까진 대부분의 연구가 1N㎥의 소규모에서만 이뤄지는 기초연구 수준에 머물렀다.
현재 국내에서 활용 중인 수소 저장기술은 대기압 200배 이상의 높은 압력에서 수소를 압축·저장해야 하고 탱크로리로 운송해야 하기에 큰 비용과 위험성이 있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번에 한전이 개발한 LOHC 기술은 수소를 액체 화합물 안에 저장해 안전한 저장과 운송이 가능하다. 수송비용도 싸다는 특징이 있다. 한전은 LOHC 저장 기술에 관해 한국가스안전공사로부터 안전성 관련 증명서를 받았다.
저장의 원리는 일정한 조건(50∼180℃의 온도, 대기압 50배의 압력)에서 수소를 수소저장 액체인 DBT(Dibenzyltoluene)와 촉매에 반응시키면 액체 화합물에 흡수되는 방식이다. 이후 수소를 250℃ 이상의 온도와 대기압의 약 3배 조건에서 촉매와 반응시키면 저장된 액체에서 수소가 분리되고, 분리된 수소저장 액체는 재사용할 수 있다.
한전 관계자는 "LOHC는 기존 압축저장방식보다 저장용량, 안정성, 경제성이 월등히 높다"며 "한전 전력연구원은 앞으로도 정부의 친환경 정책에 보탬이 되도록 다양한 에너지 신기술 개발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03/09/20200309093042698922.jpg)
수소저장 액체 기술(LOHC) 설비 작동 장면 [사진=한국전력공사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