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의 영향이 본격화하면서 경제 전반이 위축됐다. 경제 심리 악화로 내수는 쪼그라 들었고, 수출은 중국을 중심으로 부진했다.
KDI는 8일 '2020년 3월 경제 동향'을 통해 "1월은 설 명절 조업일수 감소를 고려하면 경기 동행지수와 선행지수가 소폭 상승하는 등 경기 부진이 완화됐다"면서 "2월 들어서는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가 하향 조정되는 등 국내외 여건이 악화하는 모습"이라고 밝혔다.
2월 중반 이후 코로나19가 확산하면서 제조업 계절조정 경기실사지수(BSI)(78→67)와 전산업 BSI(75→65) 실적치가 모두 큰 폭으로 하락했다. 한국은행의 전산업 BSI 실적치 조사가 시작된 2003년 이후 역대 최대 하락 폭(10포인트)이다. 또 지수가 65 이하로 하락한 것은 글로벌 금융위기와 2016년 2월에 이어 세 번째다.
당장 제조업생산이 감소했다. 국내 완성차 5개사 모두 가동률이 하락했으며, 2월 후반에는 일부 자동차공장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함에 따라 긴급방역작업을 위해 공장 가동을 일시적으로 중단했다.
감염에 대한 우려로 외부 활동을 자제하며 서비스업 생산이 타격을 받았다. 제주도 관광객은 내국인(-39.3%)과 외국인(-77.2%) 모두 급감하며 서비스업생산이 위축됐다.
회복세를 나타내던 소비도 코로나19로 꼬꾸라졌다. KDI는 "2월 소비자심리지수가 96.9로 전달(104.2)보다 큰 폭으로 하락했다"며 "코로나19가 2월 중순 이후 빠르게 확산된 점을 고려할 때 그 영향이 일부만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고 판단했다. 2월 소비자심리지수 조사는 10~17일에 이뤄진다.
설비투자도 감소로 돌아섰다. 투자 BSI가 큰 폭으로 하락하면서 설비투자는 당분간 어려울 것이라는 예상이다. 건설투자는 건축부문을 중심으로 부진했다. 건설수주(경상)는 건축과 토목부문 모두 축소되면서 6.4% 감소했다.
코로나19의 부정적인 영향은 수출에도 반영되고 있다. 조업일수의 확대로 2월 수출이 4.5% 증가했으나, 1월 5.9% 늘었던 일평균 수출액은 2월 12.2% 감소로 전환했다. 대(對)중국 수출 역시 6.6% 감소한 가운데 중국산 부품의 수급 차질로 인해 자동차 수출(-16.6%)도 큰 폭으로 줄었다.
코로나19는 노동시장 전반도 악화할 가능성이 있다. KDI는 "코로나19의 확산이 장기화될 경우 서비스업과 일용직을 중심으로 취업자 수 증가폭이 축소될 수 있다"면서 "메르스 사태가 정점에 있던 2015년 6월 일용직의 취업자 수는 4만7000명으로 전달(13만6000명)에 비해 증가 폭이 크게 축소됐다"고 설명했다.
2월 소비자물가는 농산물가격과 여행 관련 서비스가격이 하락하면서 전월(1.5%)보다 낮은 1.1%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코로나19로 경기 하방 압력이 높아지면서 원화 가치와 금리가 모두 하락했으며, 종합주가지수는 전월 말(2119)에 비해 6.2% 하락한 1987을 기록했다.
KDI는 8일 '2020년 3월 경제 동향'을 통해 "1월은 설 명절 조업일수 감소를 고려하면 경기 동행지수와 선행지수가 소폭 상승하는 등 경기 부진이 완화됐다"면서 "2월 들어서는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가 하향 조정되는 등 국내외 여건이 악화하는 모습"이라고 밝혔다.
2월 중반 이후 코로나19가 확산하면서 제조업 계절조정 경기실사지수(BSI)(78→67)와 전산업 BSI(75→65) 실적치가 모두 큰 폭으로 하락했다. 한국은행의 전산업 BSI 실적치 조사가 시작된 2003년 이후 역대 최대 하락 폭(10포인트)이다. 또 지수가 65 이하로 하락한 것은 글로벌 금융위기와 2016년 2월에 이어 세 번째다.
당장 제조업생산이 감소했다. 국내 완성차 5개사 모두 가동률이 하락했으며, 2월 후반에는 일부 자동차공장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함에 따라 긴급방역작업을 위해 공장 가동을 일시적으로 중단했다.
회복세를 나타내던 소비도 코로나19로 꼬꾸라졌다. KDI는 "2월 소비자심리지수가 96.9로 전달(104.2)보다 큰 폭으로 하락했다"며 "코로나19가 2월 중순 이후 빠르게 확산된 점을 고려할 때 그 영향이 일부만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고 판단했다. 2월 소비자심리지수 조사는 10~17일에 이뤄진다.
설비투자도 감소로 돌아섰다. 투자 BSI가 큰 폭으로 하락하면서 설비투자는 당분간 어려울 것이라는 예상이다. 건설투자는 건축부문을 중심으로 부진했다. 건설수주(경상)는 건축과 토목부문 모두 축소되면서 6.4% 감소했다.
코로나19의 부정적인 영향은 수출에도 반영되고 있다. 조업일수의 확대로 2월 수출이 4.5% 증가했으나, 1월 5.9% 늘었던 일평균 수출액은 2월 12.2% 감소로 전환했다. 대(對)중국 수출 역시 6.6% 감소한 가운데 중국산 부품의 수급 차질로 인해 자동차 수출(-16.6%)도 큰 폭으로 줄었다.
코로나19는 노동시장 전반도 악화할 가능성이 있다. KDI는 "코로나19의 확산이 장기화될 경우 서비스업과 일용직을 중심으로 취업자 수 증가폭이 축소될 수 있다"면서 "메르스 사태가 정점에 있던 2015년 6월 일용직의 취업자 수는 4만7000명으로 전달(13만6000명)에 비해 증가 폭이 크게 축소됐다"고 설명했다.
2월 소비자물가는 농산물가격과 여행 관련 서비스가격이 하락하면서 전월(1.5%)보다 낮은 1.1%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코로나19로 경기 하방 압력이 높아지면서 원화 가치와 금리가 모두 하락했으며, 종합주가지수는 전월 말(2119)에 비해 6.2% 하락한 1987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