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병두 더불어민주당 의원(서울 동대문을·3선)이 7일 "(미투 사건) 당시 의원직 사퇴는 사실을 인정한 것과 다름 아니다는 주장을 받아들일 수 없다" 고 밝혔다
민 의원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지난 주말 공천관리위원회가 공천심사를 하면서 불출마선언을 선택하도록 제안했다"며 이같이 적었다.
민 의원은 "사실관계를 인정한 일이 없다"며 "오히려 내 말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비상한 선택이었다"고 했다.
민 의원은 또한 "'의원직 사퇴=불출마선언'이라는 등식도 수용할 수 없다"고 밝혔다.
민 의원은 "의원직 사퇴도 어려운 결정이었지만 이를 번복하는 것은 더 어려운 일이었다"며 "당이 다시 일하라는 명령을 해서 오늘에 이르렀는데 갑자기 당이 이미 불출마선언을 한 것과 다름없다는 논리를 적용하는 것을 저는 수용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민 의원은 "결국은 우려 혹은 불안의 문제다. 사실관계 다툼이 남아있다는 것"이라며 "이 부분에 대해서도 법무법인 법률소견서 등을 통해 충분히 소명을 했다"고 적었다.
민 의원은 "그 당시 수많은 불면의 밤과 트라우마를 겪고서도 제가 일어설 수 있었던 것은 수만 개의 격려 문자와 유권자들의 따듯한 시선 그리고 사회적 판단 때문이었다"며 "불안하다면 주민의 뜻을 묻는 경선을 통해 유권자들이 판단하는 절차를 밟으면 된다"고 했다.
아울러 민 의원은 "재심을 생략한다면 중대한 당헌 위반행위"라며 "재심위는 당헌·당규에 있는 대로 반드시 논의를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앞서 5일 민주당 공천관리위원회(위원장 원혜영)는 민 의원을 컷오프(공천배제) 했다.
민 의원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지난 주말 공천관리위원회가 공천심사를 하면서 불출마선언을 선택하도록 제안했다"며 이같이 적었다.
민 의원은 "사실관계를 인정한 일이 없다"며 "오히려 내 말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비상한 선택이었다"고 했다.
민 의원은 또한 "'의원직 사퇴=불출마선언'이라는 등식도 수용할 수 없다"고 밝혔다.
민 의원은 "의원직 사퇴도 어려운 결정이었지만 이를 번복하는 것은 더 어려운 일이었다"며 "당이 다시 일하라는 명령을 해서 오늘에 이르렀는데 갑자기 당이 이미 불출마선언을 한 것과 다름없다는 논리를 적용하는 것을 저는 수용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민 의원은 "결국은 우려 혹은 불안의 문제다. 사실관계 다툼이 남아있다는 것"이라며 "이 부분에 대해서도 법무법인 법률소견서 등을 통해 충분히 소명을 했다"고 적었다.
민 의원은 "그 당시 수많은 불면의 밤과 트라우마를 겪고서도 제가 일어설 수 있었던 것은 수만 개의 격려 문자와 유권자들의 따듯한 시선 그리고 사회적 판단 때문이었다"며 "불안하다면 주민의 뜻을 묻는 경선을 통해 유권자들이 판단하는 절차를 밟으면 된다"고 했다.
아울러 민 의원은 "재심을 생략한다면 중대한 당헌 위반행위"라며 "재심위는 당헌·당규에 있는 대로 반드시 논의를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앞서 5일 민주당 공천관리위원회(위원장 원혜영)는 민 의원을 컷오프(공천배제) 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03/07/20200307123902404208.jpg)
민병두 국회 정무위원장이 5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 전체회의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