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환경부에 따르면 조명래 환경부 장관과 7개 유역(지방)환경청장은 폐기물의 안전 관리 현황을 점검하고 향후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코로나19 첫 확진자가 입원해 의료폐기물을 배출하기 시작한 지난달 23일부터 이달 26일까지 병원 내 확진자의 격리 의료폐기물 2만8101㎏, 자가 격리 중 확진자로 전환돼 발생한 격리 의료폐기물 2484㎏, 우한 교민 임시 생활 시설에서 발생한 의료폐기물 5만5770㎏이 안정적으로 소각 처리됐다.
임시생활 시설에서 지낸 우한 교민 폐기물의 경우 생활폐기물로 처리해야 하지만 혹시 모를 가능성에 대비해 의료폐기물로 강화해 처리하고 있다는게 환경부 설명이다.
환경부에 따르면 1인당 의료폐기물 배출량을 하루 10㎏으로 가정했을 때 확진자가 7400명으로 늘어야 전년 동월 수준의 의료폐기물이 발생한다.
현재까지 소독제, 전용 봉투가 담긴 폐기물 키트 5만2249개를 자가 격리자에게 무상으로 지급했다. 향후 추가로 소독 물품을 확보해 보급할 계획이다.
환경부는 코로나19 특별대책 이행시 발생하게 되는 의료폐기물 처리업체의 영업 손실 보상, 방호복 지원 방안도 재정 당국과 협의하기로 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02/27/20200227174619818690.jpg)
조명래 환경부 장관[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