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이르면 27일 오후부터 약국과 우체국, 농협 등 공적 판매처를 통해 매일 마스크 350만장을 공급하기로 했다. 1인당 구매 가능 수량을 5매로 제한한다.
김용범 기획재정부 1차관은 2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마스크 수급 안정 추가조치 태스크포스(TF) 회의'를 열고 이 내용을 확정했다.
정부는 전날 마스크 일일 생산량의 50% 이상을 공적 판매처에 출고하도록 하는 내용의 긴급수급조정조치 개정을 통해 하루 500만장을 공적 판매처에 출고하도록 했다.
코로나19로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구・경북지역에 매일 100만장씩 총 500만장을 대구·경북 지역에 추가 지원한다. 공적 확보 마스크는 대구·경북(100만장), 의료진(50만장), 약국(240만장), 우체국·농협(1100만장) 등으로 배분할 예정이다.
김용범 차관은 "현재 공급을 추진 중인 500만장까지 포함하면 총 1000만장을 대구·경북에 공급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마스크 잔여분은 추후 공영홈쇼핑 등 온라인을 통해 판매할 예정이다.
정부는 공적 판매처의 마스크 가격을 생산 원가와 배송비를 합쳐 합리적인 수준으로 권고하고, 1인당 구매 가능 수량을 5매로 제한하기로 했다.
김 차관은 "확보한 공적 물량의 최대한 빠른 공급을 위해 준비된 지역부터 순차적으로 판매를 시작할 예정"이라며 "지역별로 빠르면 27일 오후부터 구매 가능하도록 하고, 28일부터는 본격적으로 유통·판매되도록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용범 기획재정부 1차관은 2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마스크 수급 안정 추가조치 태스크포스(TF) 회의'를 열고 이 내용을 확정했다.
정부는 전날 마스크 일일 생산량의 50% 이상을 공적 판매처에 출고하도록 하는 내용의 긴급수급조정조치 개정을 통해 하루 500만장을 공적 판매처에 출고하도록 했다.
코로나19로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구・경북지역에 매일 100만장씩 총 500만장을 대구·경북 지역에 추가 지원한다. 공적 확보 마스크는 대구·경북(100만장), 의료진(50만장), 약국(240만장), 우체국·농협(1100만장) 등으로 배분할 예정이다.
김용범 차관은 "현재 공급을 추진 중인 500만장까지 포함하면 총 1000만장을 대구·경북에 공급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마스크 잔여분은 추후 공영홈쇼핑 등 온라인을 통해 판매할 예정이다.
정부는 공적 판매처의 마스크 가격을 생산 원가와 배송비를 합쳐 합리적인 수준으로 권고하고, 1인당 구매 가능 수량을 5매로 제한하기로 했다.
김 차관은 "확보한 공적 물량의 최대한 빠른 공급을 위해 준비된 지역부터 순차적으로 판매를 시작할 예정"이라며 "지역별로 빠르면 27일 오후부터 구매 가능하도록 하고, 28일부터는 본격적으로 유통·판매되도록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02/26/20200226170809470371.jpg)
[사진=연합뉴스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