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는 제1회 중견기업 정책위원회를 통해 관계부처 합동으로 제2차 중견기업 성장촉진 기본계획(2020~2024)을 발표하면서 이런 내용을 강조했다. 기본계획은 중견기업법에 근거한 5년 단위 계획이다.
핵심내용은 크게 3가지로 △산업‧지역 내 선도역할 강화 △맞춤형 성장전략 △정책 인프라 고도화 등이다.
중견기업의 선도역할 강화를 위해 정부는 소재‧부품‧장비 글로벌 전문기업(50개)‧지역대표 중견(100개) 육성을 계획했다. 주력산업으로는 미래차와 시스템반도체를 비롯해 바이오헬스, 기계 등을 겨냥했다. 이 외에도 신남방·신북방 지역의 수출지원에도 정부가 도울 방침이다.
신사업에 위험부담을 느끼는 중견기업을 위해서 신사업 발굴부터 사업화전략 수립까지 전단계를 지원하는 시범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성장을 위한 법·제도 등 정책기반도 확충한다. 정부는 일자리 창출, 신사업 투자 등 관점에서 현행 법령을 전수 조사하여 관계부처 공동으로 '성장걸림돌 개선 로드맵'을 올해 안으로 수립할 예정이다.
또 중견기업에 대한 안정적인 법적 지원체계를 마련하기 위해 현재 한시적으로 적용하는 중견기업법을 상시법인 중견기업기본법으로 전환 추진한다.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중견기업은 산업경쟁력 강화 및 대·중소기업과의 협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허리층으로, 독보적 기술력으로 세계시장을 선도하는 중견기업 육성이 시급하다"라며 "이번에 마련된 2차 기본계획을 통해 혁신역량과 잠재력을 가진 중견기업이 흔들리지 않는 산업강국 실현과 국가경제의 활력을 회복하는데 기여할 수 있도록 지원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02/26/20200226095102184614.jpg)
[사진=산업통상자원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