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 변화가 심각해지면서 분리수거에 관심이 많아지고 있다. 일상에서 가장 쉽게 지구를 지킬 수 있는 방법이기 때문이다.
올바른 분리배출로 절약되는 종량제 봉투 구매 비용은 연간 3000억원에 달한다. 정부는 재활용과 재사용을 활성화하기 위해 '빈용기보증금제도'를 운영 중이다.
이는 소비자의 빈 병 반환을 유도하기 위해 제품 출고 가격과는 별도의 보증금을 제품 가격에 포함시켜 판매한 뒤, 빈 용기 반환 시 소비자에게 돌려주는 제도다.
아무 병이나 보증금을 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제품 라벨에 재사용 표시가 있는 병이 대상이다. 2016년 7월 1일 이전에 출고된 빈용기보증금병에 경우 재사용 표시가 아닌 보증금 환불 문구가 표시돼 있다.
올바른 분리배출로 절약되는 종량제 봉투 구매 비용은 연간 3000억원에 달한다. 정부는 재활용과 재사용을 활성화하기 위해 '빈용기보증금제도'를 운영 중이다.
이는 소비자의 빈 병 반환을 유도하기 위해 제품 출고 가격과는 별도의 보증금을 제품 가격에 포함시켜 판매한 뒤, 빈 용기 반환 시 소비자에게 돌려주는 제도다.
아무 병이나 보증금을 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제품 라벨에 재사용 표시가 있는 병이 대상이다. 2016년 7월 1일 이전에 출고된 빈용기보증금병에 경우 재사용 표시가 아닌 보증금 환불 문구가 표시돼 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02/13/20200213192405525812.jpg)
[사진=아이클릭아트 제공]
대형마트, 슈퍼마켓, 편의점 등 모든 소매점에서 보증금을 환불받고 빈 용기를 반환할 수 있다. 빈 병 반환을 거부할 경우 과태료가 부과된다. 빈 용기 취급 수수료를 지급하지 않은 제조업자·수입업자에게는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사람과의 대면이 불편하다면 무인 회수기에서도 빈 용기 반환이 가능하다.
이처럼 정부가 빈 병 재사용을 위해 보증금 제도를 시행한 것은 빈 병 재사용을 늘리면 야생 동·식물의 서식처를 보호하는데 일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병의 원료인 석회석과 규사를 얻기 위해서는 석산 개발, 바닷 모래 채굴 등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로 인해 자연환경이 훼손돼 야생 동·식물의 서식처가 파괴될 수 있다.
경제적인 요인도 있다. 빈 병을 새로 만들 때 들어가는 원가는 소주병 1병당 평균 143원이다, 빈 병을 재사용할 경우 새로 제작할 때보다 제조원가를 88원이나 줄일 수 있다. 국내 빈 병 재사용률이 85%인 점을 고려하면 평균 병 당 제조원가는 68원으로 75원의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셈이다.
이처럼 정부가 빈 병 재사용을 위해 보증금 제도를 시행한 것은 빈 병 재사용을 늘리면 야생 동·식물의 서식처를 보호하는데 일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병의 원료인 석회석과 규사를 얻기 위해서는 석산 개발, 바닷 모래 채굴 등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로 인해 자연환경이 훼손돼 야생 동·식물의 서식처가 파괴될 수 있다.
경제적인 요인도 있다. 빈 병을 새로 만들 때 들어가는 원가는 소주병 1병당 평균 143원이다, 빈 병을 재사용할 경우 새로 제작할 때보다 제조원가를 88원이나 줄일 수 있다. 국내 빈 병 재사용률이 85%인 점을 고려하면 평균 병 당 제조원가는 68원으로 75원의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