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02/13/20200213161459167637.jpg)
포항시청 청사 전경. [사진=포항시 제공]
시는 1981~1994년까지 북구 양덕매립장을 사용했으며, 도시가 확장됨에 따라 양덕매립장을 종료하고 1995년부터 남구 호동산 38번지 일원에 신규매립장을 준공해 생활폐기물을 매립해 왔다.
호동1매립장은 1995~2005년까지 162만㎥를 매립했으며, 이후 호동2매립장은 2006~2031년까지 사용할 계획으로 14만1529㎡ 면적에 207만㎥를 매립하고자 시설을 설치했으나, 현재 매립율은 92%에 달해 신규매립장 건립의 필요성이 제기돼 왔다.
포항시에서는 쓰레기 감량 및 에너지화의 정부정책에 부응하고자 지난해 2월 18일부터 생활폐기물에너지화시설을 설치해 운영하고 있으나, 인근지역의 도심확장과 발전 등으로 도심 주변에 매립장이 운영되고 있어 도시 외곽지역으로 이전이 요구되고 있다.
환경부의 폐기물처리시설 국고보조금 업무지침에 따르면 시설물을 설치하는 경우 77개월(6.5년)이 소요되는 것으로 보이며, 포항시는 올해를 새로운 부지를 선정하는 원년으로 생각하고 주민들의 충분한 의견을 수렴해 주민이 공감할 수 있는 자원순환시설 종합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며, 기존 시설인 1․2 호동매립장 등의 부지는 주민편익시설을 설치해 주민들에게 돌려 줄 계획이다.
새롭게 설치하는 곳은 60만㎡정도의 규모로 환경적으로 피해를 주지 않는 곳에 설치하고, 직접영향권 지역은 이주시키고 간접영향권 안에 있는 지역주민에게는 주민복지증진과 소득사업, 주민편익시설을 설치할 수 있는 기금을 조성해 영향권 내 지역주민들을 지원할 계획이다.
포항시 관계자는 “2020년을 새로운 출발 원년으로 주민이 공감할 수 있는 공공처리시설을 확보하고 생활폐기물의 안정적 처리로 포항시 발전의 원동력을 확보하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