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무역 분쟁으로 인한 글로벌 경기 둔화와 한·일 관계 악화에 따른 수요 부진 등의 악재로 어느 정도 예상은 됐지만, 그 파장이 국내 항공업계 전체를 흔들고 있다. 앞으로가 더 문제다. 올해 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하 코로나19) 사태'로 중국 노선 수요까지 줄어들면서 비상경영체제를 속속 가동하고 있지만 '보릿고개'를 무사히 넘길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아시아나항공은 12일 지난해 영업손실이 3683억원으로 전년 대비 적자폭이 확대됐다고 밝혔다.
저비용항공사(LCC) 공급 확대로 인한 경쟁 심화에 따른 여객 수익성 저하, 미·중 무역분쟁에 따른 글로벌 경기 둔화와 물동량 감소로 인한 화물 매출 부진, 환율 상승, 정시성 향상과 안전운항을 위한 투자 확대 등을 실적 부진의 원인으로 꼽았다.
일본 노선을 주력으로 했던 저비용항공사(LCC)들은 더욱 심각한 상태다. 제주항공은 지난해 328억원의 영업손실을 내며 적자전환했다. 진에어도 지난해 491억원의 영업손실을 냈다. 티웨이항공도 192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최악의 사태를 막기 위해 각사는 비용 줄이기에 속속 돌입하고 있다. 이날 대한항공은 지난해에 이어 또다시 단기 희망휴직제도를 꺼내들었다. 대한항공은 오는 16일까지 객실승무원을 대상으로 자발적인 의사에 한해 한달간 희망휴직제 신청을 받는다.
아시아나항공도 객실승무원을 대상으로 희망휴직을 받기로 했다. 아시아나항공은 다음달에도 희망휴직을 받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아시아나항공은 지난해에도 본사 영업 등 일반직 직원에게 최소 15일에서 최대 2년의 무급휴직을 필수적으로 신청하도록 해 올해 4월까지 무급휴직을 진행하고 있다.
특히 제주항공은 비상경영체제를 넘어 '위기경영체제'에 돌입하기로 했다. 업황 부진이 이어지자 비상경영체제만으로 회복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한 것이다. 경영진들은 임금의 30%를 자진 반납하고, 승무원을 대상으로 진행 중인 무급휴가 제도를 전 직원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올해는 코로나19 사태로 상황이 더욱 안 좋다"며 "할 수 있는 조치를 다하고 있지만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되면 버티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02/12/20200212160812364155.jpg)
[사진=대한항공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