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02/11/20200211114351165235.jpg)
11일 서울 중구 국립중앙의료원 연구동에서 열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중앙임상태스크포스 브리핑에서 방지환 팀장이 현황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방지환 국립중앙의료원 TF팀장(중앙감염병병원운영센터장)은 11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우한 폐렴)이 공기를 통해 감염되는 것 아니냐는 일각의 우려에 대해 “공기전파로 단정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방 팀장은 신종 코로나의 경우 비말 전파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그는 “대기상 비말핵은 대체로 5마이크로미터 이하 크기의 입자로 작고 가볍다. 공기 중에 떠다니면서 공기 전파를 일으킬 수 있으나 그보다 큰 입자는 무겁기 때문에 2미터 이상의 거리를 넘어서 감염을 전파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방 팀장은 “입자의 크기 뿐 아니라 바람의 방향, 바이러스의 밀도, 바이러스가 환경 중에서 생존하는 시간 등 다양한 인자에 의해 공기 전파 여부가 결정된다”고 덧붙였다.
끝으로 “공기감염이 되는지 안 되는지에 대한 논란의 여지는 있을 수밖에 없다. 항상 모든 호흡기 감염증 발생하면 이런 논란이 있었다”며 “다만 지금까지 확실히한 공기감염을 보인 감염병은 홍역, 결핵, 두창 등이다. 신종 코로나는 공기감염 거의 안 되는 것으로 판단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