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와 통일부는 11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19년 학교 통일 교육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학생과 교사의 북한‧통일에 대한 인식과 학교 통일 교육 운영 실태를 정확하게 진단하기 위해 진행했다.
조사 대상은 초·중·고등학교 598개교의 학생 6만6402명, 교원 3817명 등 총 6만9859명이다. 조사기관 현대리서치컨설팅이 지난해 10월 21일부터 11월 29일까지 우편·방문으로 조사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02/11/20200211113012948505.jpg)
서울 강남구 율현초등학교에서 제5회 통일교육주간을 맞아 초등학생들이 통일을 주제로 놀이식 게임 교구를 활용한 체험형 통일 계기 수업에 참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통일이 필요한 이유’에 ‘같은 민족이기 때문에’라는 응답은 2019년 29.1%로 2017년 14.7% 대비 두배 이상 증가했다.
다만 ‘통일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비율은 2017년 62.2%, 2018년 63.0%에서 2019년에는 절반 수준인 55.5%까지 하락했다.
‘학교 통일 교육 실태’ 관련 학생들이 ‘학교에서 통일 교육을 받은 적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79.5%로 최근 3년간 비슷한 수준이었다.
교사들의 ‘학교 통일 교육 운영’에 대한 긍정적인 답변 비율은 61.9%로 2018년 53.0% 대비 8.9%p 증가했지만, 2017년 63.6%에 비해서는 1.7%p 하락했다.
또한 교사들은 통일 교육 활성화를 위하여 필요한 과제로 △다양한 체험 활동 제공(50.4%) △통일 교육 자료 보급’(48.4%) △교사의 전문성 향상(28.0%) △학생·학부모 의식 개선(21.8%) △통일 교육 시간 확보(21.4%) 순으로 응답했다.
학교 통일 교육 실태조사는 지난 2014년부터 시작했다. 통일교육 지원법 제8조에 따라 통일부장관, 교육부장관의 협의 하에 매년 초·중등학교에서 실시하고 있다.
교육부와 통일부는 ‘2019년 학교 통일 교육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전국 시도교육청과 협업을 강화하고, 학교에서 평화·통일 교육을 활성화할 예정이다. 접경지와 비무장지대(DMZ) 등에서 체험 교육을 확대하고, 교사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통일 교육 연수도 강화한다.
아울러, 학생 눈높이에 맞는 교육 자료를 지속적으로 개발·보급하고 통일 교육 수업 활성화와 ‘통일 교육주간’ 운영 등을 통해 평화·통일에 대한 학생들의 공감대를 확산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