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02/07/20200207152320775412.jpg)
[7일 중구 대한상의에서 열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대응 관련 기업인 간담회에서 김기문 중기중앙회장이 발언하고 있다.(사진=연합)]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사태 장기화로 중국 생산공장이 멈추면 국내 중소기업이 위기에 처할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중소기업계는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 중소기업 자금압박을 해소하는 등 지원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중소기업계는 7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신종코로나 관련 기업인 간담회’에서 정부지원을 호소했다.
지난해부터 계속된 불경기에 중소기업 실적은 악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신용등급이 하락하고, 금리 인상 및 자금 회수 우려가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신종코로나 확산으로 이중고를 겪고 있다.
김 회장은 “중기중앙회 조사결과 제조업보다 서비스업이 더 어렵다. 하루 벌어 먹고사는 소상공인들에 대한 세밀한 실태조사가 필요하다”며 “노란우산공제 부금 내 대출을 최저금리로 낮춰 10만 명 이상이 혜택을 볼 수 있도록 하겠다. 자금압박을 해소하기 위해 정부의 적극적인 대책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대·중소기업의 공장가동·수출지원, 내수활성화 대책, 자영업자 경영애로 완화 대책 등 정부가 할 수 있는 최대한의 지원조치를 강구하겠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