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준법감시위원회가 공식 출범했다.
삼성 준법감시위원회(준법감시위)는 지난 3일 삼성그룹 7개 계열사에 준법감시위를 설치·운영하기로 합의하고, 공동으로 체결한 '삼성 준법감시위원회 설치 및 운영에 관한 협약'을 이사회에서 의결했다고 4일 밝혔다.
이에 따라 준법감시위는 5일 서울 서초 삼성생명 서초타워에서 대법관 출신의 김지형 준법감시위 위원장의 주재로 첫 회의를 열 예정이다.
준법감시위는 삼성그룹의 승계와 노조 문제 등을 포함해 회사 최고경영진의 법 위반 행위를 직접 신고받아 조사하는 준법 경영 감시활동 기구다.
삼성 계열사 외부에 설치된 독립 위원회로 지난해 12월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국정농단 사건 관련 파기환송심 재판부가 그룹 전반의 준법체계를 감시할 제도 마련을 요구하면서 만들어졌다.
삼성전자를 포함한 삼성물산, 삼성생명, 삼성SDI, 삼성SDS, 삼성전기, 삼성화재 등 삼성그룹 계열사 7개사가 우선 참여한다.
파기환송심 재판부는 지난달 17일 4차 공판에서 준법감시위가 실질적이고 효과적으로 운영되는지를 전문심리위원회를 통해 점검, 이 부회장의 형량에 반영할 수 있다는 입장을 전했다.
삼성전자 등 삼성그룹 주요 계열사는 지난달 30일 이사회에서 준법감시위와 별도로 사내 준법감시조직(컴플라이언스팀)을 법무실 산하에서 대표이사 직속 조직으로 분리하고 부사장급 변호사를 부서장으로 선임하는 안건도 의결했다.
삼성 준법감시위원회(준법감시위)는 지난 3일 삼성그룹 7개 계열사에 준법감시위를 설치·운영하기로 합의하고, 공동으로 체결한 '삼성 준법감시위원회 설치 및 운영에 관한 협약'을 이사회에서 의결했다고 4일 밝혔다.
이에 따라 준법감시위는 5일 서울 서초 삼성생명 서초타워에서 대법관 출신의 김지형 준법감시위 위원장의 주재로 첫 회의를 열 예정이다.
준법감시위는 삼성그룹의 승계와 노조 문제 등을 포함해 회사 최고경영진의 법 위반 행위를 직접 신고받아 조사하는 준법 경영 감시활동 기구다.
삼성전자를 포함한 삼성물산, 삼성생명, 삼성SDI, 삼성SDS, 삼성전기, 삼성화재 등 삼성그룹 계열사 7개사가 우선 참여한다.
파기환송심 재판부는 지난달 17일 4차 공판에서 준법감시위가 실질적이고 효과적으로 운영되는지를 전문심리위원회를 통해 점검, 이 부회장의 형량에 반영할 수 있다는 입장을 전했다.
삼성전자 등 삼성그룹 주요 계열사는 지난달 30일 이사회에서 준법감시위와 별도로 사내 준법감시조직(컴플라이언스팀)을 법무실 산하에서 대표이사 직속 조직으로 분리하고 부사장급 변호사를 부서장으로 선임하는 안건도 의결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02/04/20200204125536843025.jpg)
삼성그룹준법감시위원회 위원장인 김지형 전 대법관(법무법인 지평 대표변호사)이 지난달 9일 서울 서대문 사무실에서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