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김 사장은 “최종 소비자인 고객이 B(기업)를 선택할 때 SK이노베이션의 혁신적인 기술과 제품이 들어가 있느냐 하는 것이 그 기준이 되도록 하겠다"며 "즉, B의 고객인 C(최종소비자)까지 만족시킬 수 있는 혁신을 하겠다는 얘기"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SK이노베이션은 e-모빌리티의 심장이라고 할 수 있는 배터리, 뼈대라고 할 수 있는 초경량소재, 혈액의 역할을 하는 각종 윤활유, 얼굴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소재 FCW 등 모든 분야에서 최고의 솔루션을 갖고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최근 다녀온 다보스 포럼을 통해 세계적인 트렌드 변화가 매우 명백한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김 사장은 “포럼에서 가장 많이 언급된 단어는 ‘Stakeholder Capitalism(이해관계자 자본주의)’다”며 “경영의 최우선 목적이 주주가치 극대화가 아니라, 이해관계자들의 이익으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SK가 목적함수를 ‘행복’으로 변경한 것도 그런 그림에서 보아야 할 필요성을 느꼈다”며 “총괄사장으로서 회사와 이해관계자의 행복을 키우는 데 필요한 것들에 대해 더 깊이 생각할 수 있는 계기가 됐다”고 소감을 밝혔다.
이어 그는 “SK이노베이션이 CES 참가 두해 만에 참가 당위성을 확보하게 됐다고 생각한다”며 “이제는 무엇을 보여줄 것인가 뿐만 아니라 CES라는 플랫폼을 통해 우리 사업을 어떻게 더 크게 키워나갈 것인가를 고민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그린 밸런스(Green Balance) 2030 추진계획의 첫 단추로 배터리와 소재 사업 비중을 확대할 계획을 내놨다. 김 사장은 “배터리 사업역량을 활용해 미래산업인 Beyond EV Battery 영역에서도 새로운 성장의 기회를 찾으려고 한다”며 “우선적으로 배터리 생산에서 재활용까지 밸류체인의 전 과정을 플랫폼화하는 BaaS(Battery as a Service)를 새로운 영역으로 발굴, 추진할 계획이다”고 설명했다
또 그는 “기존 석유, 화학 사업에서도 그린 비즈니스의 확장은 이어질 것이다”며 “관련 기술이 응축된 초경량 소재, 고성능 친환경 윤활유 등은 e-모빌리티에서의 ‘SK Inside’의 한 축을 담당할 것이며, 친환경 제품 개발 및 플라스틱 리사이클링 등 친환경 생태계 조성에 앞장서겠다”고 강조했다.
사명변경에 대한 계획도 밝혔다. 김 사장은 “새로운 정체(Identity)를 정립한다는 차원에서 SK이노베이션 계열 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자회사들에 한해서는 기존의 업역을 탈피한 새로운 사명으로 변경해 변화와 혁신의 의지를 대내외에 천명하는 것도 검토 중에 있다”고 말했다.
끝으로 그는 근래의 어려운 경영환경을 극복하기 위해 ‘게임 체인저’가 되겠다고 설명했다. 김 사장은 “우리가 찾으려고 하는 길은 먹이사슬에서 일시적으로 살아남는 것이 아니다”며 “안정적인 생존, 성장할 수 있는 길을 찾기 위해 새로운 방정식을 찾아 흔들림 없이 나아가겠다”고 설명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01/29/20200129094328755840.jpg)
[사진=SK이노베이션]